백합/오늘의 성인 3237

7월 3일 성 토마스 사도

7월 3일 성 토마스 사도 The Incredulity of Saint Thomas - CARAVAGGIO. 1601-02 Oil on canvas,107x146cm Sanssouci,Potsdam. 요한20,24-29 24 열 두 제자 중 하나로서 쌍동이라고 불리던 토마는 예수께서 오셨을 때에 그들과 함께 있지 않았었다. 25 다른 제자들이 그에게 "우리는 주님을 뵈었소" 하고 말하자 토마는 그들에게 "나는 내 눈으로 그분의 손에 있는 못자국을 보고 내 손가락을 그 못자국에 넣어 보고 또 내 손을 그분의 옆구리에 넣어 보지 않고는 결코 믿지 못하겠소" 하고 말하였다. 26 여드레 뒤에 제자들이 다시 집 안에 모여 있었는데 그 자리에는 토마도 같이 있었다. 문이 다 잠겨 있었는데도 예수께서 들어 오셔서 ..

7월 2일 성 오토 주교

7월 2일 성 오토 주교 축일: 7월2일 성 오토(오토네)주교 S.Otto von Bamberg St.Otto(Ottone) of Bamberg 1062-1139. 스바비아의 귀족 가문 출신인 그는 아주 젊은 나이에 사제로 서품된 후, 1090년부터 헨리 4세 황제 궁에 들어가서, 1101년에는 그의 수상이 되었다. 그는 교황과 황제간의 알력이 발생했을 때, 아주 용감하게 황제를 반대하여 큰 파문을 일으켰고, 그 황제에 의하여 밤베르그의 주교로 임명되었을 때에도, 교황 파스칼 2세가 자신을 축성해줄 때까지 황제의 명을 거부했던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헨리 5세 황제와 교황 간의 상처를 치유하는데 신명을 다 바쳤으며, 폴란드의 볼레슬라오 3세를 초청하여 동 포메라니아 선교를 시작하여 수천 명의 개종자를 얻..

7월 1일 성녀 에스델

7월 1일 성녀 에스델 The Banquet of Esther and Ahasuerus-VICTORS, Jan 1640s, Oil on canvas, 170 x 230 cm. Staatliche Museen, Kassel 축일:7월 1일 성녀 에스델 St. Esther Santa Ester Regina Ester = stella, dal persiano 에스델은 ’별’의 뜻으로 구약성서에 나오는 인물이다. 에스델은 바빌론 이름인데, 히브리 이름은 ’하다사인 말이다. 에스델은 벤냐민 자손 아비하일의 딸이며, 페르시아 임금 아하스에로스의 왕비이다. 모르드개의 사촌 여동생인데, 어버이를 여읜 뒤 모르드개의 양딸로 들어가 자랐는데, 몸매도 아름다웠고 용모도 단정했다. 아하스에로스 왕의 후궁으로 들어갔다가 와스디..

7월 1일 복자 주니페로 세라

7월 1일 복자 주니페로 세라 축일:7월1일(8월28일) 복자 주니페로 세라 Blessed Junipero Serra, OFM (Miguel Jose Serra; Apostle of California ) Born:24 November 1713 at Petra, Spanish Majorca as Miguel Jose Serra Died :28 August 1784 of tuberculosis at Mission San Carlos; buried at Carmel, Monterey, California, USA Beatified:25 September 1988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pending Name Meaning:jester of God (=Junipero) 1987..

6월 30일 로마교회의 초기 순교자들

6월 30일 로마교회의 초기 순교자들 축일:6월30일 로마 교회의 초기 순교자들 The First Martyrs of the Church of Rome Santi Primi martiri della santa Chiesa di Roma Martiri St. Protomartires de Roma sec. I, dall'anno 64 네로 황제 때인 서기 64년 로마가 화재를 입은 후 교회에 가해진 첫 번째 박해에서 수많은 신자들이 잔인한 고문을 받고 순교했다. 역사가인 타치투스(Annales 15, 44)와 로마 주교 클레멘스의 고린토 인들에게 보낸 편지(5-6장)가 이 사실을 증언해 준다. 성 클레멘스 1세 교황의 고린토 인들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를 적어본다. 이제 과거의 예를 떠나 좀더 근래에 있었던..

6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성 베드로)

6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성 베드로) Apostles Peter and Paul-GRECO, El 1592, Oil on canvas, 121,5 x 105 cm. The Hermitage, St. Petersburg 축일:6월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feast of Peter and Paul Solemnity of Saints Peter and Paul celebration of Saints Peter and Paul co-founders of the Church 성 아우구스띠노 주교의 강론에서 (Sermo 295, 1-2. 4. 7-8: PL 38, 1348-1352) 이 순교자들은 자신들이 전한 것을 눈으로 보았습니다 복된 사도 베드로와 바울로의 순교는 이..

6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성 바오로)

6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성 바오로) 축일:6월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feast of Peter and Paul Solemnity of Saints Peter and Paul celebration of Saints Peter and Paul co-founders of the Church 성 베드로와 성바오로는 공동체를 위한 일치의 표지이며 구원의표지입니다. 두 분은 로마시의 보호자이다. 베드로 성인는 어부였고 이름이 시몬이었다. 네로 시대에 십자가에 머리를 밑으로 하고 거꾸로 순교 하였다. 바오로 성인은 제일의 선교 사도이며 가장 중요한 선교사로써 67년 로마에서 머리를 잘려 순교하였다.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는 각각 64년과 67년에 순교하였으며, 그들의 무..

6월 28일 성 이레네오 주교 순교자

6월 28일 성 이레네오 주교 순교자 축일 : 6월 28일 성 이레네오 주교 순교자 ST. IRENAEUS of Lyons Sant' Ireneo di Lione Vescovo e martire SAINT IRENAEUS DOCTOR OF THE CHURCH Born :c.130 at Asia Minor Died :martyred in 202; tomb and relics were destroyed by Calvinists in 1562 Name Meaning:lover of peace Ireneo = pace, pacifico, dal greco Bishop of Lyons, and Father of the Church. 성 이레네우스(또는 이레네오)는 소아시아의 스미르나(Smyrna, 오늘날 터키의 ..

6월 27일 알렉산드리아의 성 치릴로 주교 학자

6월 27일 알렉산드리아의 성 치릴로 주교 학자 축일;6월 27일 알렉산드리아의 성 치릴로 주교 학자 St. Cyril of Alexandria St. Cyril of Alexandria B, Doctor (RM) San Cirillo d"Alessandria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Born: 376 at Alexandria, Egypt Died: 444 at Alexandria, Egypt of natural causes; relics in Alexandria Cirillo = che ha forza, signore, dal greco 성인들이 처음부터 그들의 머리 둘레에 후광을 지니고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교회의 위대한 스승으로 알려진 치릴로는 충동적이고 때로는 난폭..

6월 26일 성 비질리오 주교 순교자

6월 26일 성 비질리오 주교 순교자 축일:6월26일 성 비질리오 주교 순교자 San Vigilio Vescovo e martire St. Vigilius Trento, secolo IV - Trento, anno 400 o 405 Vigilio = vigilante, dal latino = supervising, from the Latin 트렌띠노의 주요 수호성인이 성 비질리오이다. 로마귀족인 그는 트랜띠노에서 태어났고, 아테네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후 385년에 트랜띠노의 주교가 되었는데, 밀라노 대주교이던 성 암브로시오에게 보낸 그의 편지가 남아 있다. 이 편지에는 그가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데 당한 여러가지 어려움을 적었고, 또 순례에 관한 의견도 나온다. 또 성 시지니오와 성 마르띠리오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