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오늘의 성인 3237

1월 26일 뽀르또마우리찌오의 성 레오나르도 사제

1월 26일 뽀르또마우리찌오의 성 레오나르도 사제 축일:11월26일 뽀르또 마우리찌오의 성 레오나르도 사제 성 레오나르도 카사노바 San Leonardo da Porto Maurizio Sacerdote St.Leonard of Port Maurice St.Leonardus Casanova 20 December 1676 at Porto Maurizio, Italy on the Riviera di Ponente as Paul Jerome Casanova - 11:00pm 26 November 1751 at the monastery of Saint Bonaventura, Rome, Italy Beatified:19 June 1796 by Pope Pius VI Canonized:29 June 1867 by ..

11월 26일 성 요한 베르크만스

11월 26일 성 요한 베르크만스 축일:11월 26일 성 요한 베르크만스 St. John Berchmans 13 March 1599 at Driest, Brabant, Belgium - 12 August 1621 at Rome; relics at Saint Ignatius Church Beatified:1865 by Pope Pius IX Canonized:1888 by Pope Leo XIII 예수회. 청년,복사들의 수호성인. 그는 어느 신기료 장수의 맏이로서 브라반트의 디스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사제가 되는 꿈을 꾸어오다가, 13세 때 요한 프로이몬트라는 사람의 하인이 되었다. 마침내 1615년 그는 말리너스에 새로 세워진 예수회 대학에 들어갔고, 그 다음 해에 예수회 수련자가 되었다. 그는 1..

11월 26일 성 실베스텔 고졸리니 아빠스

11월 26일 성 실베스텔 고졸리니 아빠스 축일:11월26일 성 실베스텔 고졸리니 아빠스 San Silvestro Guzzolini Abate Osimo, 1177 - 26 novembre 1267 Silvestro = abitatore delle selve, uomo dei boschi, selvaggio, dal latino 이탈리아 오시모(Osimo)의 귀족 가문에서 출생한 성 실베스테르는 볼로냐(Bologna)와 파도바(Padova)에서 법률을 공부하였으나, 곧 이를 포기하고는 신학과 성서를 공부함으로써 부친의 진노를 불러일으켰다. 어쨌든 그는 사제가 되어 고향의 대성당에서 50세까지 사목활동을 하다가 오시모에서 약 30마일 떨어진 한적한 곳에서 극도의 가난과 기도 속에서 홀로 지내기 시작하였다...

11월 25일 알렉산드리아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순교자

11월 25일 알렉산드리아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순교자 St Mary Magdalene and St Catherine of Alexandria-SIMONE MARTINI 1317.Fresco, 215 x 185 cm.Cappella di San Martino, Lower Church, San Francesco, Assisi 축일: 11월 25일 알렉산드리아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 순교자 Saint Catherine of Alexandria Santa Caterina d’Alessandria Martire Alessandria d’Egitto, secoli III-IV Caterina = donna pura, dal greco(pure woman, from the Greek) 310년경 임종. 동정 순교자. ..

11월 24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순교자

11월 24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순교자 축일:11월24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 Sant’ Andrea Dung-Lac e compagni Martiri vietnamiti Saint Andrew Dung-Lac and his companions c.1785 in Vietnam - beheaded on 21 December 1839 in Hanoi Beatified:27 May 1900 by Pope Leo XIII Canonized: 19 June 1988 by Pope John Paul II 베트남은 1533년에 그리스도교가 전래된 이래 수많은 박해가 있었는데, 이에 대한 기록들은 대개 도미니코회원들의 순교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다. 베트남 최대의 박해는 1745-1840년 ..

1월 23일 성 클레멘스 1세 교황 순교자

1월 23일 성 클레멘스 1세 교황 순교자 축일:11월23일 성 클레멘스 1세 교황 순교자 Pope Saint Clement I St.Clement of Rome San Clemente I Romano Papa e martire Martyred 101 during the persecution of Trajan Papa dal 92 al 101 Canonized: Pre-Congregation Clemente = indulgente, generoso, dal latino 석공,대리석 석수의 주보 로마의 클레멘스는 성베드로의 세 번째 후계자이며 1세기의 마지막 10년 동안 교황이었던 사람이다. 역사에서 보면 그가 101년에 순교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의 순교에 대한 이야기는 4세기나 5세기에 만들어진..

11월 23일 성 골룸바노 아빠스

11월 23일 성 골룸바노 아빠스 축일;11월 23일 성 골룸바노 아빠스 ST. COLUMBANUS Saint Columban San Colombano Abate 543 at West Leinster, Ireland- 21 November 615 in a cave at Bobbio, Italy of natural causes Canonized:Pre-Congregation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주보성인 골룸바노는 유럽 대륙에서 활동한 아일랜드 선교사들 가운데서 가장 위대한 인물이다. 그는 청년 시기에 육적 유혹으로 큰 시련을 겪은 후 수년 동안 은둔 생활을 하고 있던 수녀에게 충고를 청했다. 그는 그녀의 충고에서 세상을 떠나라는 부르심을 느꼈다. 그는 먼저 러프언의 어느 섬에 사는 한 수도자에게 갔다가 ..

11월 23일 복자 미구엘 어거스틴 프로 순교자

11월 23일 복자 미구엘 어거스틴 프로 순교자 축일:11월23일 복자 미구엘 어거스틴 프로 순교자 Bl. Miguel Agustin Pro Beato Michele Agostino Pro Martire Gesuita Blessed Miguel Agustin Pro 13 January 1891 at Zacatecas, Mexico - martyred by firing squad in 1927 Beatified: 25 September 1988 by Pope John Paul II 1924년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콜롬비아에서 일하는 예수회원들이 하나의 관구를 조직하였다. 1926년 아르헨티나의 다섯명의 신부들은 파라과이의 수도 아순시온에서 소규모로 선교를 시작하였다. 그들은 많은 호응을 받았으며, 많은 성공..

다니엘의 지혜, 가난한 과부의 모델

다니엘의 지혜, 가난한 과부의 모델 다니 1,1-20; 루카 21,1-4 / 2021.11.22.;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이기우 신부 우리 교회는 그리스도왕 대축일을 지낸 주간을 성서 주간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성서위원회에서는 올해 제37회 성서 주간을 맞아 평화를 주제로 한 담화문을 발표하였는데, “내 평화를 너희에게 준다.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요한 14,27)는 말씀에 따라서, 평화로운 세상을 건설하자고 전국 신자들에게 호소하였습니다. 세상은 정의가 실현되지 못해서 평화가 위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를 씨앗으로 삼아 평화라는 열매를 맺고자 하기는커녕, 불의한 현실은 그대로 두면서 무기와 군대라는 힘으로만 평화를 지키고자 하고 있습니다. ..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 조욱현 토마스 신부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 조욱현 토마스 신부 그리스도 왕 대축일 : 나해 복음: 요한 18,33b-37 : 내가 왕이라고 네가 말했다 그리스도의 왕권은 십자가의 죽음에서 즉 그리스도의 나약성에서 나온다. 이것이 ‘희생된 어린양’이라는 상징을 통해 나온다. 그리스도의 왕권이란 패배의 상징인 십자가에서 나오는 보편적인 구원능력에 대한 신앙고백이다. 구원의 은혜는 바로 사랑에서 나왔으며 그 사랑은 절대 패하지 않는다. 그분의 왕권은 사랑과 봉헌과 봉사와 겸손과 화해 그리고 그분을 희생 제물로 만든 모든 불의와 폭력에 대한 항거에서 나온 것이다. 우리는 모두 이런 사랑의 왕국을 원한다. 그러나 너무 이상적이고 어려워 보여서 거부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다니엘서에도 이 사고가 드러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