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오늘의 성인 3237

4월 19일 성 엑스뻬디또 순교자

4월 19일 성 엑스뻬디또 순교자 축일: 4월19일 성 엑스뻬디또 순교자 St. Expeditus Sant’ Espedito di Melitene Martire Espedito = che e ingegnoso, dal greco = that and ingenious, from the Greek 엑스뻬디또란 이름이 몇몇 순교록과 달력에 나와 있으나, 이같은 순교자가 실재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다고 한다. 그러나 독일과 시실리 지방에서는 18세기 이전부터 이 성인을 공경해 오는데, 특히 긴박한 상황에 처할때 이 성인에게 기도한다고 전해온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원래는 로마의 군인장교였다. 그러나 신앙을 고백한 후 4세기경 디오크레시아노의 황제의 박해시대때 순교당했다. 성인은 자동차 운전자들의 주보성인..

4월 18일 복자 안드레아 이베르논

4월 18일 복자 안드레아 이베르논 축일:4월18일 복자 안드레아 이베르논(1회) Beato Andrea Hibernon Francescano Murcia, Spagna, 1534 – Gandia, Spagna, 18 aprile 1602 에스파냐 귀족 가문 태생인 안드레아 이베르논(Andreas Hibernon)은 무르시아 교외 알칸카릴라에서 살았는데, 집안이 너무 가난하여 삼촌 집에 얹혀살았다고 한다. 그는 열심히 일하여 누나의 결혼 지참금을 마련하고 의기양양하게 집으로 돌아가던 중 강도를 만나 모든 돈을 강탈당하였다. 허탈에 빠진 그는 세상 재물의 헛됨을 뼈저리게 느끼고 천상에 보화를 쌓아야겠다는 결심을 하였다. 그 길로 그는 콘벤투알 프란치스코회의 평수사로 입회하였다. 그는 겸손과 기도 그리고 관..

4월 17일 성 스테파노 하딩 아빠스

4월 17일 성 스테파노 하딩 아빠스 축일: 4월17일(3월28일) 성 스테파노 하딩 St. Stephen Harding Santo Stefano Harding Abate Meriot, Sherborne, Inghilterra, 1060 ca. – Citeaux, Francia, 28 marzo 1134 영국 남부 도싯셔(Dorsetshire) 지방 쉐르본(Sherborne) 태생인 성 스테파누스 하딩(Stephanus Harding, 또는 스테파노)은 고향의 어느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고, 스코틀랜드와 파리(Paris) 그리고 로마(Rome) 등지를 여행하고 돌아오는 길에 몰렘(Molesme)의 은수자 그룹에 가입하였다. 이때 그는 성 로베르투스(Robertus, 4월 29일)와 성 알베리히(Alberi..

주님 부활 대축일 낮미사 / 조욱현 토마스 신부

주님 부활 대축일 낮미사 / 조욱현 토마스 신부 예수부활대축일: 낮 미사 복음: 요한 20,1-9: 예수님께서는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살아나셔야 한다. “주간 첫날”(1절), 오늘 주일이라고 부르는 날, 주님께서 부활하셨다. 당신의 탄생으로 인간의 탄생을 거룩하게 하신 분이 당신의 부활로 죽은 이들에게 생명을 주셨다. 이날, 부활하신 분과 함께 낙원이 열린다. 그 낙원으로 죽을 수밖에 없던 인간들이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마리아 막달레나는 아직 어두울 때 무덤에 갔다. 그곳에 분명히 주님께서 묻히셨는데, 돌은 치워져 있었고, 그 안에 시신은 없었다. 마리아는 깜짝 놀랐다. 마리아는 시신이 없자 누가 훔쳐 갔다고 생각한다. 마리아는 무덤에 왔을 때, 아직 어둠 속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누가 주..

4월 17일 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

4월 17일 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 축일 : 4월17일(7월14일) 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 Blessed Kateri Tekakwitha Beata Kateri (Caterina) Tekakwitha (Catherine Tekakwitha; Lily of the Mohawks; Tegakouita; Tegakwitha) Born:1656 at Osserneon (Auriesville), modern New York, USA Died:17 April 1680 at Caughnawaga, Canada Venerated:1943 Beatified:22 June 1980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pending 이로꽈 인디언들에게 체포된 알곤퀸의 딸인 카테리 테카크위타는 오호크 인디..

4월 16일 성녀 베르나데타 동정

4월 16일 성녀 베르나데타 동정 The Stupid One A Biography of St. Bernadette - by Dan Paulos 축일: 4월16일 성녀 베르나데타 동정 St. BERNADETTE of Lourdes Sta. Bernadetta (Bernarda), Virg Saint Bernadette Soubirous Santa Bernardetta Soubirous Vergine Born: 7 January 1844 at Lourdes, France Die: 16 April 1879, Nevers, France of natural causes; body incorrupt Beatified :1925 Canonized :1933 by Pope Pius XI Bernardetta = ard..

4월 16일 성 베네딕토 요셉 라브레

4월 16일 성 베네딕토 요셉 라브레 축일: 4월 16일 성 베네딕토 요셉 라브레 St.Benedict Joseph Labre Also known as Beggar of Perpetual Adoration San Benedetto Giuseppe Labre Pellegrino (Amettes, Francia, 26 marzo 1748 - Roma, 16 aprile 1783) Born: 25 March 1748 at Amettes, Boulogne, France Died: 17 April 1783 at Rome Beatified: 1859 by Pope Pius IX Canonized: 8 December 1883 by Pope Leo XIII Name Meaning : blessed ( = Benedi..

4월 14일 성녀 리드비나 동정

4월 14일 성녀 리드비나 동정 [이콘]모든 고통받는 자들의 기쁨인 성모. 러시아.17세기.30 x 25.5cm 이 성화(Icon)에는 "모든 고통받는 자들의 기쁨인 성모"가 묘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제를 다룬 성모를 사람들은 또한 "모든 빈곤한 자들에게 기쁨을 주는 성모"라고도 부른다. 화면의 윗 부분에는 그리스도를 팔에 안은 성모가 후광(後光)을 받고 서있으며, 천사들이 고통받는 자들을 그녀에게 인도하는 장면도 보인다. 그림의 3분지 2선상에 있는 글씨판에는 그들의 요구를 상징하는 글이 씌어 있는데, 이로써 고통받는 자들은 그들의 천상의 대변자에게 접근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장면들은 다음과 같은 성경구절을 설명하고 있다. : "옷벗은 자는 입을 것이요, 병자와 중병 환자는 나을 것이요, 소경은 ..

4월 14일 성 발레리아노 순교자

4월 14일 성 발레리아노 순교자 축일: 4월14일 성 발레리아노 순교자 St. Valerianus San Valeriano Martire Roma, 177 - Roma, 14 aprile 229 Valeriano = che sta bene, forte, robusto, dal latino (that it is well, strongly, sturdy, from the Latin) Sts Cecilia, Valerianus and Tiburtius-GENTILESCHI, Orazio c. 1620. Oil on canvas, 350 x 218 cm. Pinacoteca di Brera, Milan 성 발레리아누스(Valerianus, 또는 발레리아노), 티부르티우스(Tibrutius), 막시무스(Maxi..

4월 12일 성 제노 주교 순교자

4월 12일 성 제노 주교 순교자 [ICON] 표상의 성모 - 러시아.야로슬라블(Jaroslavl)화파.18세기.60x51.5cm 이 이콘은 성모의 여러 이콘 중 가장 존경 받는 이콘의 하나로 성서의 다음 말씀에서 기원하였다. "주께서 몸소 표징을 보여 주시리니,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이사야7,14) 상반신만 묘사되는 것을 ’즈나메니에’라고 하고,전신이 묘사되는 것을 ’빠나기아’라고 한다. 콘스탄티노플의 블라헤르린지역에는 귀중한 유물인 성모의 머리수건이 보존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성화(Icon)와 후에 파괴된, 기도하는 성모를 묘사한, 은혜를 베푸는 종교화는 성모성화의 전형 (典型)으로서 그 시원적 (始原的)인 주제였으며, 수즈달 시민들에 의해 점령당한 노프고로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