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건강과 생활의 지혜정보

급사까지 이어지는 협심증·심근경색… 원인은?

수성구 2022. 8. 24. 05:07

급사까지 이어지는 협심증·심근경색… 원인은?

 
협심증·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은 만성질환, 흡연 등이 주요 원인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대표적 관상동맥 질환이다. 관상동맥은 대동맥에서 뻗어 나온 직경 2~3mm 크기의 작은 혈관 가지로,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동맥경화가 일어나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폐쇄되면 협심증·심근경색 등으로 인해 단시간 내에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평소 흉통과 같은 의심 증상을 가볍게 여겨선 안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동맥경화 위험이 높아진다. 대동맥처럼 큰 혈관은 혈관 벽이 점점 늘어나고, 관상동맥처럼 작은 혈관은 혈관 벽에 기름기, 피딱지 등이 붙어 점차 좁아지는 ‘협착’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협심증·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또는 관상동맥협착증의 원인이 된다. 관상동맥협착증은 다른 심장질환과 마찬가지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혈증 등 만성질환과 관련돼 있다. 흡연 역시 주요 원인 중 하나며, 드물게 타카야수 동맥염, 가와사키병 등 면역성 혈관질환으로 인해 유발되기도 한다.

협심증은 말 그대로 심장이 좁아지는 것으로, 관상동맥협착증에 의한 흉통을 지칭한다. 활동 중에는 심장 혈액 부족이 심해져 흉통이 발생하고, 활동을 쉬면 통증도 함께 사라지는 양상을 보인다. 심장 자체에는 감각신경이 없다보니, 왼쪽 가슴 피부영역에서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힌 상태를 뜻한다.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일부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것으로, 손상부위가 넓으면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만성적으로 반복될 경우 심장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증’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관상동맥협착증은 약물, 경피적 스텐트 시술, 수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발견이 늦어 병변의 석회화 정도가 심하거나 좁아진 혈관 개수가 많은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관상동맥우회로술’은 심장으로 혈류를 공급하기 위해 가슴뼈를 절개한 뒤 좁아진 관상동맥 대신 다른 혈관(우회도관)을 만드는 수술법으로, 가슴뼈 좌측 안쪽에 있는 ‘좌내흉동맥’이 우회도관으로 선호된다. 이 혈관은 관상동맥과 굵기가 비슷하고 동맥경화 발생률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이밖에 우내흉동맥, 팔 바깥쪽 요골동맥, 다리 안쪽 복재정맥 등이 우회도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가슴뼈를 일부만 절단하거나 갈비뼈 사이를 작게 절개하는 최소 침습 심장수술도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최소 침습적 관상동맥우회로술은 3개 혈관상동맥 가지 중 가장 중요한 혈관인 좌전하행지 부위에 병변이 있을 때 주로 실시하는 수술로, 절개부위가 작아 수술기구 조작이 어렵다보니 ‘다빈치 로봇’을 활용하기도 한다.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황호영 교수는 “심각한 기저질환이 없는 대부분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로술의 위험성은 약 2% 정도”라며 “질환 자체의 위험과 비교하면 수술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흉통을 느낀 즉시 내원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관상동맥협착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며 “관상동맥 협착이 심하면 작은 기름덩어리만으로도 좁아진 혈관이 완전히 막혀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빨리 검사·치료받기 바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