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일 : 1월 29일
성 술피치오 세베로
San Sulpizio Severo Vescovo di Bourges
St. Sulpicius Severus
+420/425년경
갈리아(Gallia) 지방의 교회사가이자 성인전기 작가인 성 술피키우스 세베루스(또는 술피치오 세베로)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대부분의 이야기는 겐나디우스(Gennadius, +5세기경)의 “명인록”(De viris illustribus)과 그의 친구였던 놀라(Nola)의 성 바울리누스(Paulinus, 6월 22일)의 “서한”을 통해서이다. 그는 360년경 프랑스 남서부 아키텐(Aquitaine)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보르도(Bordeaux)에서 고전과 법학을 공부하였는데, 아마도 이곳에서 성 바울리누스를 만난 것 같다. 공부를 마친 뒤 변호사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부유한 집정관 가문의 여인과 결혼하였으나 부인이 일찍 사망하자 곧 공직 생활을 청산하고 389년경에 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394년경에는 모든 재산을 다 청산하고 수도생활을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요인은 부인이 일찍 사망한 것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 때문이었지만 무엇보다도 성 술피키우스를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킨 투르(Tours)의 성 마르티누스(Martinus, 11월 11일)의 권고와 성 바울리누스의 모범에 의한 것이었다.
그 후 성 술피키우스는 엘루소(Eluso)에 머무르다가 자신을 위해 일부 재산을 남겨 두었던 프레물리아쿰(Premuliacum)이라는 마을에 은둔하며 영성생활과 저술활동에 열중하였다. 이 마을은 툴루즈(Toulouse)와 카르카손(Carcassonne) 사이에 위치해 있었는데, 그는 이곳에 성당을 지어 봉헌하였었다. 또 그는 이 은둔 장소에 성 마르티누스가 세운 수도원과 유사한 공동체를 형성하여, 자신과 뜻을 같이하는 친구들과 장모인 바술라(Bassula)와 함께 생활하였다. 바술라는 성 술피키우스에게 물질적인 도움은 물론 영성생활로 나아가는 데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성 술피키우스가 순교에 대한 맹목적인 열망에서 벗어나도록 이끌어 주었다. 406년 12월 갈리아 지방이 이민족들의 침략을 받았을 때 프레물리아쿰도 황폐화되었는데, 성 술피키우스는 이때 무사히 피신하여 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또 420-425년 사이에 프리밀락(Primillac)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겐나디우스는 성 술피키우스가 펠라기우스주의(Pelagianism)의 오류에 빠져 생애 말기에 보속행위로 죽을 때까지 저술을 중단하고 절대 침묵의 삶을 살았고, 그 당시의 저자들이 성 술피키우스가 평신도라고 전하는 것과는 달리 사제직을 받았을 것이라고 전하고 있다. 하지만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는 또한 전통적으로 부르주의 주교였다고 전해지나 그 또한 확실하지 않다.
(가톨릭홈에서)
술피치오는 '로마의 한 부족'의 이름이었다.
성 술피치오의 생애는 구름에 가리워 있지만, 뚜르의 성 그레고리오가 그를 부르쥬스 주교로 임명했으며, 585년의 마콩 공의회에 참석한 것은 확실하다. "세베로"란 별명은 부르쥬스의 또다른 술피치오와 구분하기 위하여 나중에 붙여진듯 하다.
(성바오로선교네트에서)
술피치오 세베로의 편지에서
(Epist. 3,6,9-10. 11. 14-17. 21: Sch 133, 336-344)
가난하고 겸손한 마르띠노
마르띠노는 죽음을 맞이할 날을 오래 전부터 미리 알아 형제들을 보고
자기 육신이 사그라질 때가 임박해 왔다고 말해 주었다.
그러나 어떤 중대한 일이 일어나 칸데스의 교구를 방문하게 되었다.
그 교구 성직자들 간에 발생한 불화 때문에 마르띠노는 자기 생명 기한이 얼마남지 않았음을 알면서도
그 교구의 화목을 되찾게 된다면 그것이 자기 전 생애에 걸친 모든 수고의 월계관이 되리라는 그러한 희망으로 여행을 거절치 않았다.
그 도시의 성당에서 잠시 체류하면서 성직자들간의 화목을 이룬 후 자기 수도원에로 돌아가려 했다.
그러나 육신의 기력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하여 형제들을 불러 자기 임종의 시각이 다가왔음을 전해 주었다.
그때 형제들은 한결같이 안절부절 못하면서 비탄 속에 눈물을 흘렸다.
"아버지, 왜 우리를 떠나려 하십니까? 우리 이 고아들을 누구에게 맡기시렵니까?
잔인한 이리들이 당신의 양 떼를 칠 것입니다.
목자가 부상당하면 이리들의 공격에서 누가 우리를 보호 할 수 있겠습니까?
당신께서 그리스도를 갈망하시고 계심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늦게 가신다 해서 받으실 상급을 잃을 우려가 없고 그 상급이 줄어드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우리를 불쌍히 여기시어 떠나지 마십시오."
이때 마르띠노는 그들의 눈물에 깊이 감동했다.
그는 늘 하느님과 일치되어 자신의 마음으로 부터 자비의 동정심이 흘러 나오고 있었으므로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그리고 자기를 위해 애통하는 이들에 대한 응답으로 주님을 향하여 이렇게 기도했다.
"주여, 아직 당신 백성이 나를 필요로 한다면 계속 일하는 것을 거절치 않겠습니다.
당신의 뜻이 이루어지소서."
참으로 놀라운 사람이여! 수고도 죽음도 그를 굴복시키지 못했으니, 그는 죽음을 두려워하지도 않고 사는 것을 거절하지도 않았으며 두 가지 중 하나를 택하려 하지도 않았다.
눈과 손을 항상 하늘에로 드높인 채 그의 무적의 마음은 기도에 굳게 매달려 있었다.
그리고 거기에 모여든 성직자들은 그의 불쌍한 몸을 돌려 편히 하시라고 청하였으나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냥 두시오. 땅보다 하늘을 더 바라보고 싶습니다.
이제 여행을 떠나려는 순간에 이 내 영혼은 하느님께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 말을 마치자 악마가 가까이 있는 것을 보고는 이렇게 소리쳤다.
"피에 얼룩진 짐승아, 너는 여기서 무엇을 하는거야?
이 놈아, 네가 받을 것이란 아무것도 없다. 아브라함의 품이 지금 나를 받아들이고 있다."
그리고 이 마지막 말씀을 하고는 하느님께 자신의 영혼을 맡겨 드렸다.
기쁨 중에 아브라함의 품에로 영접되었다. 가난하고 겸손했던 마르띠노는 부요한 이로서 천국에 들어갔다.
(가톨릭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