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오늘의 성인 3237

1월 18일 헝가리의 성녀 마르가리타 동정

1월 18일 헝가리의 성녀 마르가리타 동정 축일:1월18일(1월26일) 헝가리의 성녀 마르가리타 동정 St. Margaret of Hungary Sta. Margarita de Hungria Santa Margherita d’Ungheria Principessa e religiosa Born:1242 Died:18 January 1271 at Budapest, Hungary; remains given to the Poor Clares at Pozsony when the Dominican Order was dissolved; most relics were destroyed in 1789, but portions still preserved at Gran, Gyor, Pannonhalma Beatified:..

1월 18일 성녀 프리스카 순교자

1월 18일 성녀 프리스카 순교자 프리실라 카타콤바의 프레스코화. 성모 마리아. 2세기. 로마. 이 유형의 성모님의 자세는 두팔을 위로 벌려 들어 올리시고 기도를 드리시는 모습인데 아기 예수는 묘사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모님의 자세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있어 생소한 것은 아니었다. 이미 구약과 고대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모두에게 알려져 있었던 기도의 한 자세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유대인들도 이러한 자세로 기도했고 초대 교회 사람들도 그러했음을 카타콤바의 벽화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오늘날의 사제들도 미사 중에 이러한 자세로 기도를 드리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초세기부터 알려졌던 오란스 형으로 그려진 성모 이콘은 4세기 경에 비롯되었는데 그후 성모 이콘의 전형으로 그 시원적인 주제가 ..

1월 17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

1월 17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 The Virgin and Child with Saints George and Anthony Abbot-PISANELLO mid 1400s. Panel. National Gallery, London 축일:1월17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 Sant’ Antonio Abate Saint ANTHONY the Abbot Anthony of Egypt; Anthony the Great; Father of Cenobites; Father of Western Monasticism 251 at Heracleus, Egypt - 356 at Mount Colzim of natural causes; relics near Vienne Antonio = nato prima, o che fa fr..

1월 16일 성녀 프리실라(프리스카)

1월 16일 성녀 프리실라(프리스카) 프리실라 카타콤바(Priscilla Catacomb) 선한 목자 프리실라 카타콤바의 프레스코화 2세기 로마. "당신은 하늘 보다 넓은 분(Plati tera ton ouranon)이시며, 창조주를 품으신 분이십니다." (이콘.신비의 미-장긍선신부편저) 축일: 1월 16일 성녀 프리실라(프리스카) 축일 Santa Priscilla di Roma Matrona St.Priscilla (98년경)1세기경, I sec. ? 거룩한 부인.수절 비아살라리아 프리스카(Prisca)로도 알려진 성녀 프리스킬라는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한 만키우스 아이일리우스 글라브리오(Mancius Aeilius Glabrio)의 아내이며, 로마 원로원 의원이던 성 푸덴스(Pudens, 5..

1월 16일 성 베라르도 사제와 동료순교자들

1월 16일 성 베라르도 사제와 동료순교자들 Franciscan Martyrs-LICINIO, Bernardino 1524.Panel.Santa Maria Gloriosa dei Frari, Venice 첫 순교자들:St.Berardus,St.Peter,St.Accursius,St.Adjutus,St.Otto 축일: 1월 16일 성 베라르도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 제 1회 세라핌적 형제회의 첫 순교자들 Santi Berardo, Otone, Pietro, Accursio e Adiuto Protomartiri dell’Ordine dei Frati Minori Santi Berardo, Pietro, Accursio, Adiuto e Ottone Protomartiri dell’Ordine Serafic..

1월 15일 성마카리오 (맏이)은수자, 1월 2일 성마카리오 (젊은)은수자

1월 15일 성마카리오 (맏이)은수자, 1월 2일 성마카리오 (젊은)은수자 성 마카리오(맏이) 은수자(축일:1월15일) 축일 : 1월 2일 성 마카리오(젊은) 은수자 St. MACARIUS the Younger St. Macarius the Alexandria Born :early 4th century at Alexandria, Egypt Died :c.401 Patronage :confectioners, cooks, pastry chefs 알렉산드리아의 시민인 그는 과자장수를 하다가, 하느님께 봉사하려는 마음으로 꽃다운 나이에 세상을 멀리하고, 6년 동안 사막에서 고행과 관상으로 지냈다. 그의 첫 은수처는 테베이다. 그리고 373년에는 에집트 남부로 가서, 스케트와 니트리아 사막에 움막을 지었다. 그 ..

1월 15일 성 바오로 은수자

1월 15일 성 바오로 은수자 St. Paul the Hermit-Jusepe de Ribera Oil on canvas. Louvre, Paris, France 축일:1월15일 성 바오로 은수자 St. Paul the First Hermit St. Paul the hermit San Paolo di Tebe Eremita c.230 at Lower Thebes, Egypt - 5 January 342 of natural causes; grave reported to have been dug by desert lions near his cave who guarded the body; buried by Saint Anthony the Abbot Patronage;clothing industry, weave..

1월 14일 성녀 마크리나

1월 14일 성녀 마크리나 축일 1월 14일 성녀 마크리나 St. Macrina St. MACRINA the Elder Santa Macrina l'Anziana 270-340년 성녀 마크리나는 성 대 바실리우스(Basilius, 1월 2일)와 니사(Nyssa)의 성 그레고리우스(Gregorius, 3월 9일)의 할머니로서 이들의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마크리나 부부는 소아시아의 네오카이사레아(Neocaesarea)와 폰투스(Pontus) 등지에서 살았는데, 갈레리우스와 막시미누스의 황제의 박해 때문에 수많은 고생을 하였다. 그들은 박해자들의 손길을 피하기 위해 숲 속에서 7년이나 은거했으므로 수없이 굶주렸다고 한다. 로마 순교록에는 마크리나가 성 그레고리우스 타우마투르구스(Gregori..

1월 14일 놀라의 성 펠릭스

1월 14일 놀라의 성 펠릭스 축일: 1월 14일 놀라의 성 펠릭스 St. Felix San Felice da Nola Confessore e martire Nola, III sec. – 14 gennaio 313 ? (260년경) Felice = contento, dal latino 시리아인으로서 로마 군인이던 헤르미아스(Hermias)의 아들로 태어난 성 펠릭스는 이탈리아의 남부 나폴리(Napoli) 교외인 놀라에서 자랐다. 부친이 사망하자 그는 아버지의 유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놀라의 성 막시무스(Maximus, 1월 15일)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 후 그는 성 막시무스의 보좌로 활약하다가 그의 스승이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를 피하여 사막으로 갔을 때 스승 대신에 체포되어 감..

1월 14일 복자 오도릭과 성 질스

1월 14일 복자 오도릭과 성 질스 축일:1월14일 복자 오도릭 Bl.odoric Beato Odorico da Pordenone Sacerdote Villanova di Pordenone, 1265 – Udine, 14 gennaio 1331 성 오도릭은 프리울리 뽀르데노네에서 태어나 15세 때에 우디네에서 프란치스칸이 되었다. 그러나 한적한 곳에서 하느님만 섬기려는 사명을 느끼고 원장의 허락을 받아 은수생활을 시작하였다. 그후 그는 다시 우디네로 돌아와서 주민들에게 설교했는데 수많은 군중들이 몰려다닐 정도로 그의 설교는 성공적이었다. 1321년경에 그는 서인도에 상륙했고, 1322년과 1328년에는 중국 북구 그리고, 1331년에는 우디네에서 선종하였다. 이 모든 것은 그가 하느님의 계시를 받고서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