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행복 가득한곳

추석(秋夕)의 어원(語源), 유래(由來), 풍속(風俗), 시절음식(時節飮食)

수성구 2022. 9. 10. 05:59

[추석(秋夕)의 어원(語源), 유래(由來), 풍속(風俗), 시절음식(時節飮食)]

 

1. 추석(秋夕)의 어원(語源)

 

추석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한가위의 한은 '하다'의 관형사형이고, 가위란 ‘가운데’라는 뜻이다.

 

‘가운데’는 ‘갑다’의 어간 ‘갑’과 관형사형 어미 ‘‘’과 ‘’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는데 변화하는 과정에서 ‘가’가 되고, 그걸 음차표기하면서 ‘가배(嘉俳)’라는 말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가’는 다시 ‘가위’로 변형되어 ‘한가위’가 된다. 지금도 신라의 고토(故土)인 영남지방에서는 '가운데'를 '가분데'라 하며, '가위'를 '가부', '가윗날'을 '가붓날'이라고 한다.

 

또 8월 초하루에서 보름께까지 부는 바람을 "8월 가부새 바람 분다."라고 한다. 이로써 미루어 볼 때

 

가뷔·가부는 뒷날 가위로 속전(俗轉)된 것으로 알 수 있으니, '추워서'를 현재에도' 추버서'로 하는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8월 중에서도 정(正)가운데란 뜻이니, 정 중심(正 中心)을 우리가 '한가분데' 또는 '한가운데'라고 하듯이 '한'은 제일(第一), 큰(大)의 뜻 이외에도 한(正)의 뜻이 있음도 알 수 있다.

 

한가위를 추석, 중추절(仲秋節·中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한 것은 훨씬 후대에 와서 생긴 것이다.

 

즉 한자가 전래되어 한자 사용이 성행했을 때 중국 사람들이 '중추(中秋)'니 '추중(秋中)'이니 하고,

 

'칠석(七夕)'이니 '월석(月夕)'이니 하는 말들을 본받아 이 말들을 따서 합하여 중추(中秋)의 추(秋)와 월석(月夕)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추석(秋夕)의 유래(由來)

 

추석의 기원이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고대로부터 있어 왔던 달에 대한 신앙에서 그 뿌리를 짐작할 수 있다.

 

고대사회에 있어 날마다 세상을 밝혀주는 태양은 당연한 존재로 여겼지만, 한 달에 한 번 만월(滿月)을 이루는 달은 고마운 존재였다.

 

밤이 어두우면 맹수의 접근도 알 수 없고 적의 습격도 눈으로 볼 수가 없기에 인간에게 있어 어두운 밤은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만월은 인간에게 있어 고마운 존재였고, 그 결과 만월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게 되었다.

 

그런데 만월의 밤중에서도 일 년 중 가장 큰 만월을 이루는 8월 15일인 추석이 큰 명절로 여겨진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만월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고 먹고 마시고 놀면서 춤추었으며, 줄다리기, 씨름, 강강수월래 등의 놀이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고대에 만월을 갈망하고 숭상하던 시대에 이미 일 년 중에서 가장 달이 밝은 한가위는 우리 민족 최대의 축제로 여겨지게 되었고,

 

후에 와서 의식화(儀式化)되어 명절로 제정(制定)을 보게 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가위의 기원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에 잘 나타나있다. "신라 제3대 유리왕(儒理王) 9년(서기 32년)에

 

왕이 6부를 정하고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내(部內)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하여

 

두 패로 가른 뒤, 편을 짜서 7월 16일부터 날마다 6부의 뜰에 모여 길쌈을 하는데, 밤늦게야 일을 파하고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이 많고 적음을 살펴 가지고 지는 편은

 

술과 밥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사례하고, 이에 온갖 유희가 일어나니 이것을이를 가배(嘉俳)라 한다."고 하였고, 또 "이때 진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면서 탄식하기를,

 

‘회소회소(會蘇會蘇)’라 하여 그 음조가 슬프고 아름다웠으므로 뒷날 사람이 그 소리로 인하여 노래를 지어 이름을 회소곡(會蘇曲)이라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회소곡은 온 나라 안에 퍼져서 나중에는 신라의 유명한 곡이 되어 전하였다 하나, 지금 그 노래는 전하지 아니한다.

 

길쌈의 협동 작업은 지금도 두리삼, 또는 두레삼이라고 하여 영남지방 일대에 그 유속(遺俗)이 남아 있다.

 

 

3. 추석(秋夕)의 풍속(風俗)

 

추석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으로는 벌초(伐草), 성묘(省墓), 차례(茶禮), 강강술래, 씨름, 소 놀이, 거북놀이, 원 놀이, 가마싸움, 반보기, 올게심니, 밭고랑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몇 가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1)벌초(伐草)와 성묘(省墓)

 

추석에 조상의 무덤에 가서 여름 동안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베어주는데 이를 벌초라 한다.

 

옛날 조상의 묘를 풍수설에 의하여 명당에 쓰기 위하여 몇 십리 먼 곳에까지 가서 쓰는 수가 많았고, 또 묘를 쓴 다음 이사를 가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묘가 집 근처가 아니라 먼 곳에 있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추석을 맞이하여서는 반드시 벌초를 하는 것이 자손의 효성의 표시와 도리로 여겼다.

 

한가위 때에 성묘를 와서 벌초를 안했으면 보기에도 흉할 뿐만 아니라 불효의 자손을 두었거나 임자 없는 묘라 해서 남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2)차례(茶禮)

 

추석 이른 아침에 사당을 모시고 있는 종가(宗家)에 모여 고조(高祖)까지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 지내는 절차가 설날과 다른 것은 흰 떡국 대신 메[밥]를 쓰는 점이다.

 

조상에대한 추원보본(追遠報本)과 천신제(薦新祭)를 겸하였기 때문에 제물은 신곡으로 만들어 진열된다. 고조 이 상의 윗대는 10월에 시제라 해서 묘에서 제사를 지낸다.

 

 

3)강강술래

 

추석의 가장 대표적인 풍속놀이이다. 1966년 2월15일 중요 무형문화재 제8호로지정되었다.

 

해마다 음력 8월 한가윗날 밤에, 곱게 단장한 부녀자들이 수십 명씩 일정한 장소에 모여 손에 손을 잡고 원형으로 늘어서서, ‘강강술래’라는 후렴이 붙은 노래를 부르며 빙글빙글 돌면서 뛰노는 놀이이다.

 

강강술래를 할 때는 목청이 좋은 여자 한사람이 가운데 서서 앞소리[先唱]를 부르면, 놀이를 하는 일동은 뒷소리[合唱]로 후렴을 부르며 춤을 춘다.

 

유래는 임진왜란 때, 당시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인 이순신(李舜臣)이 수병을 거느리고 왜군과 대치하고 있을 때,

 

적의 군사에게 해안을 경비하는 우리 군세의 많음을 보이기위하여, 또 왜군이 우리 해안에 상륙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하여,

 

특히, 전지(戰地) 부근의 부녀자들로 하여금 수십 명씩 떼를 지어 해안지대 산에 올라 곳곳에 모닥불을 피워놓고 돌면서 ‘강강술래’라는 노래를 부르게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싸움이 끝난 뒤 그곳 해안 부근의 부녀자들이 당시를 기념하기 위하여, 연례행사로서 ‘강강술래’ 노래를 부르며 놀던 것이 전라도 일대에 퍼져 전라도 지방특유의 여성 민속놀이가 되었다.

 

 

4)씨름

 

우리나라 전통적인 남자 운동경기의 하나로 한문으로는 각희, 각력, 각저라고 부릅니다. 넓은 마당에서 허리와 다리에 띠나 삽바를 두른 두 장정이 마주 꿇어 앉아

 

각기 한 손으로는 다리의 띠를 잡은 다음 심판관의 호령에 의해 동시에 일어나 먼저 상대방을 넘어뜨림으로써 승부를 결정하는 경기이다.

 

경기의 기술로는 안걸이, 배치기, 발걸이, 둘러치기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씨름판이라 하여 주로 백사장의 원형 판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우승자에게 황소를 상으로 주는 것이 관례였다.

 

 

4.추석(秋夕)의 시절음식(時節飮食)

 

추석은 시기적으로 곡식과 과일 등이 풍성한 때이므로 이즈음에는 여러 가지 시절 음식이 있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제찬을 준비하는데, 설날의 제찬과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추수의 계절 이라 햇곡식으로 밥과 떡, 술을 만든다. 철이 늦은 해에는 미리 밭벼[山稻]를 심었다가 제미(祭米) 로 쓰는 일도 있다. 이렇게 햅쌀로 밥을 지으면 맛이 좋고 기름기가 있으며, 떡도 맛이 좋다.

 

 

1)송편

 

추석의 대표적인 절식으로는 송편을 빼놓을 수가 없다. 송편 속에는 콩·팥·밤·대추 등을 넣는데, 모두 햇것으로 한다.

 

열나흘 날 저녁 밝은 달을 보면서 가족들이 모여 송편을 만드는데, 송편을 예쁘게 만들면 좋은 배우자를 만나며, 잘못 만들면 못생긴 배우자를 만나게 된다고 해서 처녀, 총각들은 송편을 예쁘게 만들려고 노력한다.

 

또 임신한 여자가 태중의 아이가 여자인지 남자인지 궁금할 때에는 송편 속에 바늘이나 솔잎을 가로 넣고 찐 다음 한쪽을 깨물어서 바늘의 귀 쪽이나 솔잎의 붙은 곳을 깨물면 딸을 낳고

 

바늘의 뾰족한 곳이나 솔잎의 끝 쪽을 깨물면 아들을 낳는 다고 하여, 이를 점치기도 한다. 특히, 올벼로 만든 송편은 올벼 송편이라 부른다.

 

 

2)술(酒)

 

추석의 차례 상에서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것이 바로 술이다. 추석 술은 백주(白酒)라고 하는 데, 햅쌀로 빚었기 때문에 신도주(新稻酒)라고도 한다.

 

추석 때는 추수를 앞둔 시기이기 때문에 사람들의 마음이 풍족해진다. 사람들의 인심 또한 후해서 추석 때에는 서로 술대접을 하는 수가 흔하다.

 

 

3)닭 - 황계((黃鷄)

 

또 이때의 가장 넉넉한 안주로 황계(黃鷄)를 들 수 있는데, 봄에 알을 깬 병아리를 길러서 추석 때가 되면 잡아먹기에 알맞게 자란다. 또 옛날에는 명절에 어른에게 선사하는 데에 닭을 많이 썼다.

 

친정에 근친하러 가는 딸은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가지고 갔으며, 경사가 있을 때에도 닭을 선물했으며,

 

반가운 손님이 찾아오면 손쉬운 닭을잡아 대접하였다. 특히, 사위가 찾아오면 장모는 닭을 잡아 대접하는 일이 흔했다.

 

 

4)녹두 나물. 토란국

 

녹두 나물과 토란국도 추석의 절식이다. 녹두 나물은 소양(消陽)한다고 하지만, 잔치 상에 잘 오르고, 토란은 몸을 보한다고 해서 즐긴다.<출처: 국립민속박물관>

 

 

5)상기 외 추석날 먹는 시절음식으로는 가리찜(닭찜), 송이산적, 잡채, 밤단자, 배화채, 백숙, 시루떡, 인절미, 호박떡, 약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