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행복 가득한곳 960

[참다운 우정(友情)을 위한 마음가짐]

[참다운 우정(友情)을 위한 마음가짐] "交友 須帶三分俠氣 作人 要存一点素心(교우 수대삼분협기 작인 요존일점소심)!" "벗을 사귐에는 모름지기 남의 어려운 처지를 외면(外面)하지 못하는 의(義)로운마음을 지녀야 하며, 사람됨에는 반드시 순수(純粹)하고 깨끗한 마음을 간직하는 것이 중요(重要)하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키케로'는 "우정(友情)에 대해서는 다른 사물(事物)에 있어서와 같이 싫증이 난다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오래 계속(繼續)될수록 좋은 법이다. 마치 오랜시간을 보낸 포도주처럼 달콤해지는 것이 당연한 이치(理致)이며 세상에서 말하는 것처럼 우정을 다하기 위해서는 함께 여러 말(斗)의 소금을 먹어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우정은 함께 하지 않으면 영속(永續)되지 않는다. ..

[100歲 시대 2, 3번 결혼, 동거(結婚, 同居)에 대비(對備)하라]

[100歲 시대 2, 3번 결혼, 동거(結婚, 同居)에 대비(對備)하라] [100歲 시대 2, 3번 결혼, 동거(結婚, 同居)에 대비(對備)하라] 현대인들은 긴 수명의 인생을 부여 받았다. 30-40년 결혼생활을 유지해온 60-70대+들이 늘어난 수명으로 제2의 인생을 설계해야 하는 전환기에 와있다. 앞으로 우리에게는 시간이 많이 남았다고 하지만 사별 혹은 이혼후 혼자 살 가능성이 많아졌다. 수십 년의 인생을 남겨놓고 또 다시 사랑과 결혼(혹은 동거)이라는 샘솟는 열정 앞에 고민 하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그것도 배우자와의 이혼 혹은 사별을 당할 수 있는 나이가 바로 노년기니 그렇다. 부부의 연을 맺어 똑 같이 90,100세까지 살기는 어렵다는 것, 즉 한쪽과 헤어져야 하는 것이 노년기의 삶이기 때문이다..

[늙은이 용도폐기 피하기]

[늙은이 용도폐기 피하기] [늙은이 용도폐기 피하기] 행복한 노인으로 사는 기본적인 조건은 우선 건강입니다. 생활이 궁핍하지 않을 만한 경제적 여유가 있고 할 일이 있으며 마음이 편해야 합니다. 세상을 곱게보는 눈과 사랑과 정에 인색하지 않는 따뜻한 마음으로 삶을 즐기는 슬기와 열정도 있어야합니다. 고도로 현대화한 사회에서는 자기관리에 소홀하면 늙은이 용도폐기라는 비극의 주인공이 될 확률이 많아집니다. 노후에 용도폐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나름대로의 일이 있어야 하고 일을 즐기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늙을수록 작거나 크거나 역할이 있어야 하고 이를 슬기롭게 담당해야 합니다. 노인에게도 일은 축복이고 귀한 선물입니다. 적당한 일은 행복이고 높은 차원의 정신 운동이며 예술 활동이고 지루하지 않는 놀이고 휴식이며 ..

여생 탈없이 재미있게

여생 탈없이 재미있게 여생 탈없이 재미있게 1. 컴퓨터에 비유하자면 몸은 하드웨어(Hard ware)입니다. 이 하드웨어에 마음이란 소프트웨어(Soft ware)를 싣고 가는 것입니다. 자동차가 좋아야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듯이, 몸이 이상 없어야 인생에서 목표한 바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2.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어느 정도 오행상의 불균형을 타고나게 되므로 일정부분의 불균형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게 완전한 건강은 없다는 것이지요. 그러니 건강에 대해 너무 크게 기대하지 마세요. 누구라도 마음이든 몸이든 한두 가지 통증이나 고통은 있게 마련입니다. 먹고 살아가는데 큰 지장이 없으면 건강한 것이라 생각하고, 건강에 대해 너무 큰 기대를 하지 않는다면, 마음이 좀 더 편안해질 것입니다. 3. 어..

노년기의 불쾌한 이미지- 노년의 추함(노추:老醜)을 어떻게 멀리 할까?

노년기의 불쾌한 이미지- 노년의 추함(노추:老醜)을 어떻게 멀리 할까? 노년기의 불쾌한 이미지- 노년의 추함(노추:老醜)을 어떻게 멀리 할까? 노년들 생활 속에 나타나는 모티브는 노추, 가난, 장애, 고독, 죽음 등 다양하다. 노인은 무력감, 의존감, 노망, 노추등의 부정적인 이미지와 함께 ‘문제인간’으로 취급받기 쉽다. 게다가 내의지와 관계없이 살찌고, 마르고, 질병에 걸려 신음하면서 신체적 이미지가 구겨진다. 나이에 따라 백발로 변하면서 머리카락이 슬그머니 빠져나간다. 엉덩이가 처지고 둔부가 망가진 퇴행성 몸매를 나타낸다. 건강하던 다리가 가늘어 지고 배만 볼록해진 모습도 보인다. 허무감속에 몸에 대한 자기혐오, 자기가치에 대한 상실감을 느끼는 것이 노년기의 신체적, 감정적 노화다. 말인즉, 잠깐 다..

[늙은이 행복도 자급자족]

[늙은이 행복도 자급자족] [늙은이 행복도 자급자족] 노인이라도 자신의 행복과건강을 남에게 기대고 의지하려는 것은 어리석습니다.자신의 행복과 건강은 남에게 의탁할 수는 없는 성질의 것입니다. 행복과 건강은 자신의 것이기에 자신이 만들고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확실하고 믿을 수 있습니다. 늙은이에게도 행복과 건강에 관하여는 자신의 생리에 적합하도록 자급자족으로 만족하고 감사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사람은 나이가 많아지면 가난해 지기 쉽고 아프기 쉬우며 소외되고 외로울 확률이 많아질 수 있기에 삶을 마칠 때까지 이 위기를 슬기롭게 대처해야 불행을 피할 수 있습니다. 궁핍을 피하기 위해서는 준비한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며 아프지 않고 건강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슬기로운 자기 관리와..

[당신은 노모(NOMO)족(族)으로 살고 있는 가?]

[당신은 노모(NOMO)족(族)으로 살고 있는 가?] [당신은 노모(NOMO)족(族)으로 살고 있는 가?] ‘나 할배(할멈)아니거든’(No More Older)신드롬! 요새 노인들은 할아버지, 할머니라는 호칭을 반가워하지 않는다. 지하철 안에서나 공공장소에서 할아버지, 할머니하며 특별한 관심을 보여주는것도 부담스럽게 생각한다. 중장년의 사람들은 늙어 보이는 모습이 싫어서 나이보다 어리게 입고 가꾸는 다운 에이징(down aging)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필자가 처음 사용하는 노모족(NOMO:No More Older, 나 할아버지 아니거든)이라는 용어가 있다. 늙어가면서 사회는 물론 아내들이 남편을 조롱하는 말투로 “근심덩어리, 짐 덩어리, 걱정덩어리, 원수덩어리” 소리는 듣지 말아야 한다는 자기성찰의 ..

[늙은이가 스스로 즐기며 행복하기]

[늙은이가 스스로 즐기며 행복하기] [늙은이가 스스로 즐기며 행복하기] 노후를 스스로 즐겁게 사는 사람은 멋지고 행복한 사람입니다. 즐거움을 만들고 이를 즐기며 행복하게 사는 노인은 참으로 현명한 사람입니다. 즐거움에도 공짜는 없습니다. 행복과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서는 원망이나 분노 없이 삶에 감사하고 사랑에 익숙하도록 자신을 지혜롭게 관리해야 합니다. 스스로 노력하고 의도적으로 즐거움을 만드는 달인이 되도록 노력하는것은 슬기로운 노인의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늙은이가 되면 스스로 삶이 무엇인가를 조금은 알게 됩니다. 그렇지못한 경우도 볼 수 있으나 자신의 삶을 생각하는 늙은이라면 이제부터는 좀 더 보람 있고 멋진 삶을 살아야되는 결정적 시간이 됨을 알게 됩니다. 사회와 국가 그리고 가능하다면 자식에게도 ..

[늙은이가 스스로 즐기며 행복하기]

[늙은이가 스스로 즐기며 행복하기] [늙은이가 스스로 즐기며 행복하기] 노후를 스스로 즐겁게 사는 사람은 멋지고 행복한 사람입니다. 즐거움을 만들고 이를 즐기며 행복하게 사는 노인은 참으로 현명한 사람입니다. 즐거움에도 공짜는 없습니다. 행복과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서는 원망이나 분노 없이 삶에 감사하고 사랑에 익숙하도록 자신을 지혜롭게 관리해야 합니다. 스스로 노력하고 의도적으로 즐거움을 만드는 달인이 되도록 노력하는것은 슬기로운 노인의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늙은이가 되면 스스로 삶이 무엇인가를 조금은 알게 됩니다. 그렇지못한 경우도 볼 수 있으나 자신의 삶을 생각하는 늙은이라면 이제부터는 좀 더 보람 있고 멋진 삶을 살아야되는 결정적 시간이 됨을 알게 됩니다. 사회와 국가 그리고 가능하다면 자식에게도 ..

[노년의 리모델링(Remodeling)]

[노년의 리모델링(Remodeling)] [노년의 리모델링(Remodeling)] 사람이 살아가면서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다. 아파트가 오래되면 리모델링을 해야 하듯이 사람도 노년이 되면 마음의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늙은 몸이야 어쩔수 없다고 해도 마음만이라도 변화에 적응해야만 하겠다. 이 길만이 즐거움과 행복을 놓치지 않고 내 것으로 만드는 하나의 지름길이라고 볼 수 있다. 몸은 쇠약해저도 마음만은 새롭게 가지는 것이다. 새로운 마음을 가지는 것은 오직 의지의 문제이지 몸의 문제는 아니다. 현대석학(現代碩學)들의 주장에 따르면 새로운 마음을 가지면 정신도 몸도 새로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는 늙어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오래된 생각을 버리고 늙어도 할 수 있다는 새로운 마음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