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人生) 70은 일흔 줄에서는 달마다 늙는다]
시인(詩人) ‘김달진’(1907~1989)은 어느 글에선가 쓰기를, 인생 60代는 해(年)마다 늙고, 인생 70代는 달(月)마다 늙고,
인생 80代는 날(日)마다 늙고, 인생 90代는 시간(時)마다 늙고, 인간 100歲는 분( 分)마다 늙는다고 했다.
인생 70은 일흔 줄에서는 달마다 늙는다고 하며, 숙명적(宿命的)으로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정 코스를 달려가는 우리 인생.
예순쯤에는 해마다 주름 하나씩 늘면서 어딘가 노쇠(老衰)의 증상(症狀)이 나타난다는 의미(意味)를 내포(內包)한 말이려니,
따라서 1년에 한 번이라도 건강(健康)을 체크해보면서 건강과 체력유지(體力維持)에 힘써야 한다는 말일것이다. 우리나라 남성들의 평균수명(平均壽命)이 74.4세라는데..
우리인생! 일흔쯤에는 달마다 신체기능(身體機能)에 이상(異常)이오고 어딘가치명적(致命的)인 아픔이 꼭 온다는 말이다. 섭생(攝生: 병에 걸리지않도록 건강관리를 잘하여 오래 살기를 꾀함)과
운동(運動)에 힘써서 70청춘(靑春)을 구가(謳歌:여러 사람이 입을모아 칭송하여 노래함)하는 사람도 많지만, 대부분(大部分) 자신(自身)을 잃고 막연(漠然)한 불안(不安)과 외로움 속에 하루하루 무의미(無意味)한 세월(歲月) 죽이기로 허송(虛送)하고 있다.
늙어서 서러운 인생! 여든 줄에는 건네는 인사(人事)도 "밤새 안녕 하십니까?"로 변(變)하고 죽어도 그만 살아도 그만인, 아흔 줄에는 시간(時間)마다 대소변(大小便), 병 수발에 간병인(看病人)이 있어야 하니, 그 삶이 결코 축복(祝福)일 수 없고 기쁨일수 없는데 하물며 백세향수(百歲亨壽)를 바란데서야 어찌 욕심(慾心)이라 않겠는가?
인터넷 어느 글에서 9988 234(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 이틀 앓고 3일째 죽는 것이 행복한 인생이란 뜻)이란 실버(silver)들의 바람을 혹평(酷評)한 글을 읽고 가슴이 아팠다. “병(病)을 얻어 아파 누워서도 오래살기만 바란다면 자식(子息)들에게 큰 짐이되고 부담(負擔)이됨을 알아야 하는데..
매일 술이나 마시면서 건강유지(健康維持)에는 힘쓰지 않고서야 어느 효자(孝子)가 모시려 하겠느냐?“는 내용이었다.
스스로 병(病)들고 누워서 지내는 100歲는 죄악(罪惡)이다. 최소(最小)한 활동(活動)에 지장(支障)없는 건강(健康)이어야 축복(祝福)이 된다.
가족(家族)이나 간병인(看病人)의 힘을 빌리는 의존생명(依存生命)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고 가족의 바람도 그럴 것이다.
지금 부터라도 우리 모두 건강유지(健康維持)에 힘써 병(病)들지 않고 9988 234할 수 있도록, 축복(祝福)받는 장수(長壽)가 될 수 있도록 가능한(可能限) 한 노력(努力)에 힘쓰자.
[노인(老人) 10계명(誡命)]
01.자식(子息)에게 올인 하지 말라. 02.며느리 잘 모셔야 집안이 화목(和睦)하다. 03.돈은 무덤까지 가지고 가야 한다. 04.돈보다 먼저 건강(健康)이다. 05.젊게 살려면 젊은이를 따라 하라. 06.미워도 내 사람이 제일이다. 07.뒤돌아보지 말고, 남은 날들을 즐겁게 보내라. 08.작은 것을 크게 기뻐하라. 09.오늘 하루가 감사(感謝)하면 일생(一生)이 감사하다. 10.자기(自己)가 믿는 종교(宗敎)와 잘 거래(去來) 하라. 얻는 것이 많을 것이다.
[뇌(腦) 건강(健康)을 위한 엄지척 이야기] 누구나 건강하고 편안한 노후를 희망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어쩔 수없는 노화 현상으로
몸의 이곳저곳에 이상이 오게 되면서 불편함이 따르고 통증과 씨름하며 복용하는 약물이 늘어가는 하루하루를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몸의 건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또 하나 있다. 다름 아닌 삶의 질을 좌우하는 뇌 건강이다.
뇌는 우리 몸의 모든 신경계를 주관하는데, 팔다리를 움직이는 일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고 느끼는 모든 감각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다양한 뇌 관련 질환들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질병은 단연 ‘치매’일 것이다. 2018년 통계청의 사망원인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매는 9위를 기록했으며,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는 12명에 이른다. 특히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10대 사망원인에 포함되기도 했다.
치매의 원인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우는 퇴행성 질환이기도 하지만 완치가 없는 현재진행형의 불가역적 질환이다.
이상물질의 침착과 함께 점차 뇌세포와 뇌의 용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뇌의 기능저하가 나타나는데, 기억력 감퇴는 물론
언어장애, 시공간 능력 저하, 성격 및 감정의 변화, 이상행동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일상을 잠식해 결국 주체적인 자아를 잃게 만든다.
이미 퇴행된 뇌의 기능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는 없지만 병의 진행을 늦추기위한 치료가 필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인지기능 또는 치매에 동반되는 행동심리증상 개선을 위한 약물치료나 운동 및 재활치료가 이에 해당한다.
치매의 원인 중에서도 수두증, 감염, 갑상선 질환 등 10~15%를 차지하는 비율에서는 완치가 가능한 만큼 적극적으로 치료 의지를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병의 진행을 5년가량 늦출 경우 의료비 부담을 약 50%까지 절감한다는 통계치도 존재하므로
완치되지 않는 병이라고 치료를 포기하기보다는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들도 조기 발견 및 치료에 힘써야 한다.
하지만 우리 머리 속의 뇌는 평소 건강상태를 확인하기가 힘든기관에 해당한다. 따라서 꾸준히 관심을 갖고
정기적으로 위험 요소를 차단하고 관리하는 것만이 치매를 피해갈 수 있는 현명한 답이 될 것이다.
평소와 다른 이상증상을 묵과하지 말 것, 특히 난청, 고혈압, 비만, 당뇨병 및 흡연, 우울 등의 치매 고위험 요소에 대해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때때로 진료실에서 환자분에게 인지기능이상 가능성을 설명 드리면 “나이 들면 다 그렇지”라며 낫지도 않는 병으로 치부해
평가 및 치료를 꺼리는 분들을 심심치 않게 보게된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약은 잘 챙기시면서 말이다.
대부분의 만성질환들과 마찬가지로 치매 치료 역시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그로 인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함일 것이다.
퇴행성 치매의 경우도 같은 이치이므로, 개인, 가족, 사회적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겠다.<출처: 헬스조선, 서울척병원 뇌신경센터/김동희 과장> - 좋은 글 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