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욱현 토마스 신부 / 2022. 9. 18. 연중 제25주일 -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는 없다.
연중 제25주일: 다해
복음: 루카 16,1-13: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는 없다.
오늘 전례의 주제는 재물에 관한 것이다.
재물은 하느님의 선물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목을 조르는 올가미가 되기도 한다.
오늘 복음에서는 인간이면 누구나 피하기 어려운 재물의 유혹을 극복할 수 있는 재물 사용법에 대해
몇 가지 권고를 하고 있다.
재물을 잘 사용하여 진정 하늘나라에 자신을 개방하고 준비할 수 있는 삶을 살도록 초대하고 계시다.
아모스 예언서의 내용은 항상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전형적인 착취 형태로서, 이 같은 상황은 오늘날에 있어서는
더욱 심각하다.
수많은 국가에서 자행되고 있는 착취 형태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아모스의 외침은 우리에게 있어서 이러한 상황을 거슬러, 자신들이 압박의 도구가 되지 않고
인간 상호간의 일치와 형제애의 도구가 될 수 있도록 지상 재화의 의미를 재조명하라고 하는 촉구라고 할 수 있다.
오늘 복음에서 청지기는 어떻게 그런 부정한 짓을 저지를 수 있었는가?
주인에게 들켜 큰 벌을 받을 수 있는 나쁜 짓이 틀림없다.
당시의 청지기는 넓은 토지를 관리하고 주인에게 정기적으로 보수를 받는 것이 아니었다.
그 땅에서 나오는 결실을 높은 이자로 빌려주고 자신들의 보수를 챙겼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지기는 자기에게 주어진 권한을 최대한 이용하여 빚진 자들의 빚문서를 허위로 기재한다.
기름을 빚진 사람에게는 50%를 감해주고, 밀을 빚진 사람에게는 20%를 감해준다.
이렇게 이 약은 청지기는 빚을 삭감해줌으로써 개인적인 이익을 거둘 뿐 아니라, 빚진 사람들의 환심도 산다.
주인은 이 청지기가 일을 약삭빠르게 처리했다고 칭찬을 한다(8절).
청지기는 그렇게 함으로써 두 가지 이익을 얻고 있다.
우선은 개인적인 벌이를 할 수 있었고, 또 그 빚진 사람들과 친분을 맺을 수 있었다.
집주인은 이 두 번째 사실에 대해서 칭찬을 하고 있다.
“세상의 자녀들이 저희끼리 거래하는 데에는 빛의 자녀들보다 영리하다.”(8절)는 것이다.
세속의 자녀들은 이렇게 쉽게 다른 사람의 환심을 얻는데 어째서 착한 이들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어려울까?
아마도 자기 자신과 또한 자신의 재물을 나눌 줄 모르기 때문이 아닐까?
“불의한 재물로 친구들을 만들어라.”(9절). 이 비유는 친구를 사귀는 데 있어서 재물을 사용할 줄 알라는 권고로 맺고 있다.
여기에서 친구들이란 누구를 의미하는지 막연하지만 가난한 사람들과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어야 한다는
루카의 사상에 비추어 알 수 있다.
“너희는 가진 것을 팔아 자선을 베풀어라. 너희 자신을 위하여 해지지 않는 돈주머니와 축나지 않는 보물을
하늘에 마련하여라. 거기에는 도둑이 다가가지도 못하고 좀이 쏠지도 못한다.
사실 너희의 보물이 있는 곳에 너희의 마음도 있다.”(루카 12,33-34).
그러므로 우리가 재물로 사귀어야 할 친구들이란 구체적으로 우리가 은혜를 베풂으로써 나중에 우리의 중재자가 될
모든 사람이며, 추상적으로는 우리가 우리 이웃에게 베푼 모든 자선 행위 및 선행을 의미한다.
이것이 루카가 볼 때 재물의 소유를 정당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렇지 않으면 정당하게 번 재물이라고 해도 부당하게 사용되는 것이며, 따라서 세속의 제물이 되고 만다.
재물은 나눔이 있을 때 사랑과 우정의 공간을 넓혀주는 역할을 하던가, 아니면 이기적으로 사용되어
사회적 불안과 불평등을 일으키는 구실을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가진 자나, 가지지 못한 자나 저주만이 있게 된다.
“불행하여라, 너희 부유한 사람들! 너희는 이미 위로를 받았다.”(루카 6,24).
오직 이 세상의 재물로부터 자유로운 마음을 가질 때만이 참 재화를 풍성히 얻을 수 있다.
그 재화는 아무도 빼앗을 수 없는 것이며 하늘나라의 재화이다.
참고로 “너희가 남의 것을 다루는 데에 성실하지 못하면, 누가 너희에게 너희의 몫을 내주겠느냐?”(12절) 하시는데,
여기서 남의 것이라고 하는 말은 재물이 혼자서 즐기는 데 쓰이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베풀어진다는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 말씀은 재물의 모든 정당성을 배제하고 있는 내용이다.
“어떠한 종도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
한쪽은 미워하고 다른 쪽은 사랑하며, 한쪽은 떠받들고 다른 쪽은 업신여기게 된다.
너희는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 없다.”(13절).
재물은 사람의 모든 관심을 당겨 인간을 노예로 삼으려 하므로 위험한 것이다.
그러나 하느님이 인간의 마음을 차지하게 되면, 재물에 대한 집착은 버릴 수 있으며,
아씨시의 프란치스코와 같이 될 수 있다.
어떤 면에서 재물은 그리스도교 신자가 자기 신앙의 진실성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다.
그 재물이 동참과 우정의 도구가 되고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이기주의적 폐쇄와 원한의 도구가 되고 있는지
자신의 태도로써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재물의 정당성이 인정될 수 있는 경우는 우리가 재물을 만들어 간직하거나 소유할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을 모든 사람의 선익을 위해 쓸 경우이다. 교부들도, 교회도 이렇게 살도록 가르치고 있다.
지금 이 세상 재화의 대부분이 인류의 1/3에 해당하는 그리스도인들의 손에 쥐어져 있고, 그리스도인이 아닌 사람들은
대개가 곤궁에 처해있다.
이 같은 사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겠는가? 그리스도인들이 하느님과 재물을 동시에 섬기고자 함으로써
복음을 거스르고 있다는 사실에도 달린 것이 아닐까?
그러므로 티모테오 전서에서 바오로 사도가 권고하듯 하느님께서 모든 이의 마음을 바꾸어 주시도록 기도하여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아주 신심 깊고 품위 있게, 평온하고 조용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1티모 2, 2)라고 한다.
조욱현 토마스 신부님
'백합 > 오늘의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연 마태오 신부 / 2022년 9월 19일 연중 제25주간 월요일 (0) | 2022.09.19 |
---|---|
선행의 등불은 등경 위에 얹어 놓아라 (0) | 2022.09.19 |
조명연 마태오 신부 / 2022년 9월 18일 연중 제25주일 (0) | 2022.09.18 |
[순교자 대축일] 민족 파스카의 신비 (0) | 2022.09.18 |
조욱현 토마스 신부 / 2022. 9. 17. 연중 제24주간 토요일 -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0)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