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행복 가득한곳

[해로동혈(偕老同穴)]

수성구 2021. 11. 15. 03:19

[해로동혈(偕老同穴)]

2. 부부(夫婦)란 일심동체(一心同體)란 말이 있다.

 

부부(夫婦)가 한평생(-平生)을 같이 지내며 같이 늙고, 죽어서는 같이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부부 사랑의 굳은 맹서(盟誓)를 뜻함. 부부의 금술(琴瑟)이 좋아서 함께 늙고 함께 묻힘. 시경(詩經)에 나온 말.

★ 해(偕): 함께 해/ 로(老): 늙을 로(노)/ 동(同): 한 가지 동/ 혈(穴): 구멍 혈, 굴 휼



​1. 유래(由來)

시경(詩經)에 실린, 하남성 황하(黃河)유역에 있던 나라들의 민요에서 유래(由來)한 말이다.

“격고(擊鼓: 북을 두드림)”라는 시(詩)에, “죽으나 사나 만나나 헤어지나, 그대와 함께 하자 언약(言約)했지. 그대의 손을 잡고, 그대와 함께 늙겠노라!”

즉 전선에 출장한 병사가 고향(故鄕)에 돌아갈 날이 언젤런지! 애마(愛馬)와도 사별하고 싸움터를 방황(彷徨)하면서 고향(故鄕)에 두고 온 아내를 생각하며 지은 노래다. 그러나「아, 멀리 떠나 우리의 언약을 어기다니」로 끝맺은 병사의 슬픈 노래다.



세상 살면서 보자면 요즈음 젊은 부부들이 혼례(婚禮) 후 신혼여행(新婚旅行) 중에도 헤어지거나 반년도 못 되어 이혼(離婚) 가정이 늘고 있다 한다.

​그 이유(理由)인 즉 내 아들이 판, 검사(判, 檢事) 인데 의사(醫師)인데 아파트 자동차 이렇게 밖에 해 오지 못하느냐? 열쇠 꾸러미가 이렇게 적어서야!

시 어머니 성화(成火)에 며느리 견디지 못하고 이혼 한다. 세상에 사람보고 결혼한 거지 돈 보고 열쇠 꾸러미 보고 결혼 하였나? 재물(財物)과 차라리 결혼하지?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조강지처(糟糠之妻)와 이혼한 부부가 많다.



옛 말을 상고(上古) 해 보자면 마누라가 칠거지악(七去之惡)도 저지르지 않았는데 ...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 했던가? 소시 적 보다 형편이 풀렸다 하여 본처(本妻)를 이유 없이 버리는 자, 이는 금수(禽獸)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그 업(業)을 반듯이 받게 되어 있다.

​이런 가정 밑에선 자란 자식(子息)들이 제대로 자랄 수 있겠는가? 물질 만능주의(物質 萬能主義)가 가정(家庭)도 망치고 나라도 망하게 하는 단추다.

특히 나이 들어 등 긁어 줄 사람은 마누라 밖에 없다. 부부란 얼굴 표정만 봐도 내 남편이 내 마누라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구나! 정도는 서로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세상 속 부부 사이에서 서로의 표정만을 보고, 서로의 심기(心氣)를 헤아리는 사람이 있는 가하면 말을 해야 알아듣는 사람, 말을 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 여기서 언어(言語)의 충돌(衝突)이니, 성격차이니, 그래 못 살아! 헤어져! 소리가 나오게 되어 있다.

​남남끼리 만나서 서로 이해하고 사랑하라 그게 금술 좋은 부부다. 해로동혈(偕老同穴)!! 수신제가(修身齊家)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다.



[밤마다 뒤척뒤척.. 빨리 잠들고 싶다면?]


베개에 머리를 대자마자 잠이 드는 사람이 있다. 밤마다 뒤척뒤척 잠 못 드는 사람에게는 이상적으로 보일지 몰라도 이는 좋은 신호가 아니다.

잘 휴식한 사람은 바로 잠들지 않는다. 건강한 수면을 하는 사람들은 잠에 빠지는 데 약 15분 정도 걸린다. 너무 빨리 잠에 드는 것도, 한참을 뒤척여야 겨우 잠드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건강하게 잠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CNN 온라인판은 눕자마자 잠드는 수면 형태의 문제, 아울러 잠자리에 누워도 쉽게 잠들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팁을 소개했다.

​중요한 것은, 잠이 들 것이라는 사실에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 빨리 잠에 빠져들지 않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잠들 확률은 더 낮아진다.

​너무 빨리 잠드는 것, 수면부족의 징후? 베개에 머리를 대는 순간 잠드는 것은 심각한 수면 부족의 징후가 될 수 있고 이는 신체와 정신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음식에 잔뜩 굶주린 사람은 허겁지겁 다음 식사를 먹어 치울 것이다. 반면 영양 상태가 좋은 사람은 그렇게 탐욕스럽게 먹지 않을 수 있다. 음식이 당장 절실하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매일 밤 적절한 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는데 낮에 피곤하고 밤에 너무 빨리 잠이 든다면 수면의 질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밤에 여러 번 깨어나 각성이 있을 때 질 좋은 수면의 부족이 발생한다. 이러한 각성은 깊은 수면인 델타 수면이나 빠른 안구 운동이 특징인 렘수면에 영향을 미친다.



델타와 렘수면은 둘 다 중요하다. 렘수면 단계에서 우리는 꿈을 꾼다. 정보와 경험을 통합하고 기억 속에 저장한다. 델타 수면은 뇌가 휴식을 취하고 독소를 제거할 때 필요하다.

밤에 잠을 방해할 수 있는 흔한 원인 중 하나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다.밤에 다리가 경련하거나 떨리는 증후군도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만성 통증, 당뇨병, 심장병, 천식, 위식도 역류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더 빨리 잠들기 위한 방법


널리 알려진 빠른 수면을 위한 수면 환경은
①불빛 최대한 차단하기,
②온도 조금 낮추기 18-22℃,
③몸에 맞는 베개 높이 옆으로 누웠을 때 10-15 cm, 바로 누웠을 때 6-8cm,
④허리에 잘 맞는 매트리스,
⑤ 뇌의 알파파 유도하는 백색 소음 이용하기,
⑤ 호흡법 활용(478 호흡법 4초 들이쉬고 7초 참은 후 8초간 내뱉기),
⑥ 자기 전 커피, 담배, 술 복용 안하기,
⑦ 자기 전 무리한 운동 안하기 등이 우선 갖춰져야 효과적이다.
⑧멜라토닌, Magnesium, 5-HTP (5-hydroxytryptophan), L–theanine, GABA (gamma-aminobutyric acid) 등 수면 영양제도 도움이 된다.

​일단 전광석화처럼 잠드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 만약 자신이 잠드는 데 10~20분가량 필요하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 다만 지나치게 잠들기 힘든 밤이라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1) 일어나라.


20분이 지나도 잠이 안 오면 침대에서 일어난다. 다른 방에 들어가 희미한 불빛을 켜고 다시 졸음이 올 때까지 차분해지는 일을 한다. 밤중에 일어나 다시 잠들 수 없을 때도 마찬가지다.

어떤 이유로든 밤에 뒤척이고 잠들기 힘들다면 침대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이들은 눈을 감고 침대에 누워있는 것이 휴식이 된다고 믿는다.

로빈스는 “이는 허황된 생각”이라고 말한다. 침대에 잠 안자고 계속 누워 있으면, 침대=불면증으로 연관 짓게 된다는 것.



2) 침대는 오직 수면 공간으로 이용하라.


뇌가 침실을 잠자는 곳으로 받아들이는 훈련이다. 이를 위해 침대에서 일하거나 텔레비전을 보지 않는다. 또한 전화통화를 하거나 휴대폰도 확인하지 않는다.



3) 편한 잠자리를 만들라.

수면 과정을 촉진해 뇌가 수면을 기대할 수 있게 연습해야 한다. 잠자는 방을 시원하고 어둡게 유지한다. 연구에 의하면 잠을 잘 자는 데는 낮은 온도(약 16~19도)가 더 좋다.



4) 루틴(routine)을 준비하라.


뇌가 진정하도록 가르치는 방법. 따뜻한 물로 목욕이나 샤워를 하고 나서 은은한 불빛에서 잔잔한 음악을 들으며 시간을 보내는 식이다.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주말이나 쉬는 날에도 매일 같은 시간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라고 조언한다.



5) 어지러운 마음을 진정하라.


많은 사람들에게 잠들 때 가장 힘든 부분이다. 스트레스와 불안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초조함을 멈추기 어려울 수 있다. 명상을 하는 것도 잠드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다.



6) 머리맡에 ‘걱정 리스트’를 둔다.

머리맡에 메모지를 놓고 걱정을 기록하는 것도 마음을 진정시키는 방법이다. 자기 전에 마음속에 있는 모든 것을 기록하는 의식을 시작한다.

아무리 스트레스가 되어도, 작든 크든 걱정을 적는다. 그런 다음 지금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고 스스로에게 말하고 아침에 할 일로 내버려둔다.



7) 숨을 크게 쉰다.


심호흡은 바쁜 마음을 진정시키고 잠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천천히 6까지 세면서 숨을 깊이 들이마신 뒤 다시 6을 세면서 천천히 숨을 내쉰다. 몸이 이완되는 것을 느낄 때까지 반복한다.



8) 포기하지 않는다.


머지않아 더 빨리 잠들겠다는 꿈이 실현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다.<출처: 코메디닷컴, 이보현 기자>

- 좋은 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