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人生)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인 오늘
"매일(每日)을 마치 그것이 네 최초(最初)의 날인 동시에 네 최후(最後)의 날인 것 같이 살아라!" ‘하우프트만’(Gerhart Hauptmann: 1862년~1946년 독일의 극작가/소설가)의 말입니다.
그는 1946년 사망(死亡)했습니다. 그의 이 말은 참으로 힘찬 말입니다. 이렇게말하기는 쉽지만 이렇게 살기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매일 매일을 내 생(生)의 최초의 날인 동시(同時)에 최후의 날처럼 산다는 것은 자기(自己)의 인생(人生)을
최고도(最高度)의 성실(誠實)과 정열(情熱)과 감격(感激)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것은 말할나위 없이 진지(眞摯)한 인생의 자세(姿勢)입니다. 오늘이 나의 인생의 최초의 날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우리는 큰 희망(希望)과 많은 기대(期待)와 진지한 계획(計劃)과 더할 수없는 충실감(充實感) 속에서 하루의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할 것입니다.
모든 것이 새롭고 모든 것이 중요(重要)한 의미(意味)를 가질 것입니다. 우리는 실수(失手)하지 않으려고 조심할 것이요, 잘해 보려고 애쓸 것입니다.
오늘이 나의 인생의 최후의 날이라고 생각합시다. 우리는 빈틈없는 마음과절실(切實)한 감정(感情)과 최선(最善)의 노력(努力)을 다해서 나의 하루를 살 것입니다.
우리는 인생의 열애자(熱愛者)가 될 것입니다. 모든 일에서 깊은 의미를찾고 일 분 일 초를 헛되이 낭비(浪費)하지 않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기의 인생이 마치 영원(永遠)히 계속(繼續)할 것 같은 마음을가지고 살아갑니다.
오늘은 다시 오지 않습니다. 오늘은 내 인생에서 처음이자 동시에 마지막인 날입니다. 절대(絶對)로 두 번 있을 수 없는 오늘입니다. 내일(來日)은 내일이지 결코 오늘이 아닙니다.
내 인생의 최초의 날이자 최후의 날인 것처럼 성실과 정열을 다해서 살아야 합니다. 세월(歲月)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습니다. 내 인생 남이 살아 줄 수는 없습니다.
자기(自己) 멋에 사는 노인(老人)
인생은 무대이고 사람은 배우라고 한다. 하지만 자기멋에 사는 노인은 배우며 작가이고 연출자이며 감독이다.
각본을 자기의 생리에 맞게 쓰고 조명과 음악도 자기 뜻대로 정하고 그대로 실행한다. 그는 자기의 작품을 위해 피나게 노력하며 고민도 많이 한다. 좋은 작품을 위해 철저히 노력하고 준비하지만
대본이 완성된 후에는 과감하게 고민을 털어버리고 자기의 대본대로 열심히 살며 삶의 현장을 누구보다도 철저히 즐기며 사랑한다. 기쁨과 슬픔 모두 스스로의 작품으로 인정하고 남의 평판에 개의치 않고 자기의 생각과 계획에 따라 생활한다. 삶이 모두 자기의 작품이기에 조금부족해도 위축되지도않고 누구를 원망하거나 부러워하지 않고 자기장단에 맞추어 즐거워하고 스스로의 목소리로 노래부르며 춤추고 행복해 한다.
제멋에 사는 노인은 일을 좋아하며 건강하고 삶이 여유롭고 자녀와 남을 의지하지 않고 당당하며 독립심이 강하다.
남에게 짐이 되지 않으며 짐을 오히려 덜어주고 스스로 짐을 지고 간다. 조용하고 있는 듯, 없는 듯, 하나 자기의 몫은 다한다.
자기 멋에 사는 노인은 일을 만들어 즐기며 긍정적이고 넓은 마음으로 칭찬을 즐기며 사촌이 땅을 사면 속이 더욱 편하다. 자연을 사랑하고 유유자적하며 있는 것만으로 만족하고 감사하며 인간의 한계를알기에 절대자를 믿고 의지하는 진솔한 종교인으로 산다.
영원한 소망이 있기에 유연하고 약하지만 속은 강하며 자신감이 차있다. 포용력이 강하며 자연스럽고 소박 간결하며
자발적이고 사소한 욕구에 억매이지 않고 심성이 밝으며 잘 웃으며 남을 편안하게 하고 창조적 생활을 한다.
조금은 고집스럽지만 자기의 주관대로 자기의 인생을 사랑하고 즐기며 삶을행복으로 만들어 간다. 자기멋에 사는 노인은 하늘의 축복을 누리는 행복한 사람이다.<다래골 著> 12가지 건강 비법(健康 秘法)
01. 머리카락을 자주 빗으세요.
그러면 무엇으로 빗을까요? 남자들도 주머니에다 빗을 가지고 다니시는 분들이 좀 있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조금 이상한 부분도 있습니다. 여자 분들이 빗들고 다니는 것 하고는 영 ‥,
그러면 뭘로 빗을까요? 그 방법은 손가락으로 빗으십시오. 머리카락을 자꾸손가락으로 빗을수록
두피가 자극되어 머리도 맑아지고 잘 안 빠지게 되며 아울러 윤이 나서 참 좋다고 합니다.
02. 얼굴을 자주 만지세요.
여자 분들이야 화장할 때 마다 그냥 두들기지만 남자분들이야 사실 세수하는 것 이외에는 얼굴을 자주 만지는 편이 대부분 아닙니다.
그런데 얼굴을 자주 만져주면 혈압, 동맥경화 이런 것들의 치료를 도울 수 있습니다.
허리가 너무 아파서 못 견디는 분은 코 바로 밑에 인중이라고 해서 홈이 파진 곳이 있죠? 거기를 두 번째 손가락을 가지고 자주 문지르십시오.
콧물 날 때 닦는 것처럼 자꾸 거기를 문질러 보세요. 그러면 놀랍도록 효과가 금방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렇게 얼굴을 자꾸 문질러야 됩니다.
03. 눈을 자주 움직이세요.
눈이 굉장히 피곤할 때 그때는 어떻게 하십니까? 눈을 가만히 쉽니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눈을 감는 거죠?
그리고는 눈동자만 위로 아래로, 왼쪽 오른쪽으로 또는 뱅글뱅글 한 번 돌려 보세요.
얼마나 시원합니까? 잠깐만이라도 해 보세요. 아마 금방 눈이 맑아지는 것을 느끼실 것입니다.
04. 귀를 자꾸 만져 주세요.
그것은 귓볼을 자주 만져야 된다는 것인데 옛말에 귓바퀴는 축 늘어져 부처님 귀처럼 되어야 오래 산다고 했습니다.
귀가 장수와 관계된 이유는 그럼 무엇일까요? 귀는 신장과관계가 깊습니다.
귀가 잘 생긴 사람은 신장, 비뇨, 생식기 계통의 기능이 좋습니다. 그러니까 장수할 수 밖에없는거죠. 이 글을 읽으시는 님들 귀를 자주 만지시기를 권합니다.
05. 혀를 자주 입안에서 굴리세요.
혀를 가지고 지금 당장 위 천장을 핥아 보세요. 다음 잇몸 쪽을 한번 핥아 보세요.
그러면 침이 생기는 것을 느끼실 수가 있을 겁니다. 침 즉 타액은 회춘(回春) 비타민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결국은 사람이 건강해질 수밖에 없고 소화도 잘 되고 여러 가지 좋은점이 많은 것입니다. 언제나 우리는 건강에 대해서 소홀히 할 때가 많습니다. 조금만 노력하고 신경을쓰면 건강하고 즐겁게 살 수 있는 것을!
06. 치아를 자주 두들기세요.
이것을 우리는 “고치법”이라고 합니다. 치아를 단련시키기 위해서는 치아를 딱 딱 딱 위아래를 조금씩 두드려 주는 것이 치아를 건강하게 만드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07. 침은 삼키세요.
어떤 사람들은 자주 침을 뱉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자기의 가장 소중한 보배를 버리는 것입니다. 침을 만들어 버리지 마시고 바로 삼키시기를 권합니다.
08. 탁한 것은 버리세요.
예를 들어서 우리 몸에 담이 끓어서 가래가 나온다면 삼킬 수는 없는 것입니다. 침을 삼키는 것과는 반대로 가래와 같은 해로운 물질은 버리라는 것입니다.
09. 등을 따뜻하게 하세요.
우리는 겨울철이나 몸이 좋지 않을 때 “아이 오싹해”라는 표현을 합니다. 한 여름에 더위를 이기겠다고 등목을하면 얼마나 시원합니까? 몸이 오돌오돌 떨리고 몸부림이 쳐집니다.
이것은 갑자기 체열이 발산되기 때문에 건강에는 좋지 않은 것입니다. 여러분 가능한 한 등을 따뜻하게 하시기를 바랍니다.
10. 가슴을 보호하세요.
우리가 갑옷을 입는 이유는 가슴을 보호하는데 가장 중요한 목적이 있습니다. 가슴을 항상 보호하는 것이죠. 그래서 항상 가슴을 따뜻하게 하고 보호하는 것입니다. 11. 배를 자주 만져 주세요.
어릴 적에 누구나 한 번쯤은 할머니나 어머니에게“내 손은 약손이다" "내 손은 약손이다”라고 문지르면 아프던 배가 낫기도 했던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어떻게 문지르는지 자세히 살펴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문지르는 방법은 명치서부터 치골까지 아래로 쭉쭉 문지르거나,
아니면 우리 장기는 시계 돌아가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함부로 막 문지르지 말고 명치서부터 치골까지 위 아래로,
그 다음에 시계 돌아가는 방향으로 배를 자꾸 문질러 주면 아픈 배가 나아질것입니다. 12.“곡도”는 안으로 끌어 들이세요.
곡도라는 것은 항문을 말하는데 나이가 많으신 노인 분들은 체온기를 항문에 집어넣으면 헐렁헐렁 해서 빠집니다.
그러면 이와 반대로 어린애들은 어떻습니까? 항문에다 체온기를 넣기가 어려울 정도로 항문에 힘이 있습니다.
곧 죽을 사람들은 항문에 힘이 빠져서 열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른들이 돌아가실 때 항문을 보고 “아 곧 돌아가시겠구나?”하며
항문으로 돌아가실 때를 가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항문을 오므리듯이 당겨주는 연습을 자꾸 하시기를 권유합니다.
덜 알려진.. 치매 위험 신호 3가지 이유 없이 잦은 낮잠, 만사 의욕 상실 등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인지기능에 장애가 생기면 혹시 치매가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든다.
그런데 이렇게 잘 알려진 것 외에 간과하기 쉬운 치매 위험 신호들이 있다. 치매는 완치가 어려운 질병이므로 조기에 발견해 인지기능 저하를 최대한 늦추는 게 가장 중요하다.
1.밤에 잘 잤는데.. 지나친 낮잠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UCSF)에 따르면 이유없이 잦은 낮잠이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된 뇌 병변이 원인일 수 있다.
밤에 잠을 못 잔 것도 아닌데 이유 없이 낮잠을 지나치게 잦은 것에 대해 연구진은
"치매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이 낮 시간 각성에 관여하는 뇌 부위에 쌓여 그 기능을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 치매 환자들은 낮 시간대 각성을 촉진하는 뇌의 3개 부위에 타우 단백질이 상당히 쌓여있었다.
이 때문에 낮에 각성을 잘 하지 못하게 되고 낮잠이 잦을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2.만사에 의욕·관심 상실
‘무관심'(apathy)이 간과되고 있는 치매 의심 증상으로 지목됐다. 치매환자의 거의 절반에게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데도,
연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무관심’은 만사에 의욕과 관심을 상실한 상태다.
알츠하이머 치매환자 4320명을 분석한 영국 엑시터대 의대 연구진은 "의욕과 관심이 전혀 없다면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 증상은 더욱 악화되고 사망 위험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무관심’ 증상에 대해 대처 방법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3.걷는 속도가 느려졌다. 보행속도가 느린 노인은 다른 사람에 비해 알츠하이머 치매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이 60세 이상 노인 약 4000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행속도가 다른 사람보다 느린 노인이 치매 발생률이 높았다. 특히 보행속도를 2차례 측정한 2년 사이에 보행속도가 빠르게 줄어든 노인이 치매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프랑스 툴루스 신경퇴행질환센터 역시 비슷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프랑스 연구진은 걷는 속도가 느린 노인은 치매 환자의 뇌세포에 나타나는 독성 단백질 수치가 높다고 밝혔다.<출처: 파이낸셜뉴스 홍예지 기자>
- 좋은 글 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