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어느 서당에서 학동들이 글을 읽고 있었습니다.
춘삼월 따뜻한 햇볕 아래에서 한자를 읽다 보니
학동들이 꾸벅꾸벅 졸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호랑이 같은 훈장님이 큰 소리로 말했습니다.
“네 이놈들! 어디 신성한 서당에서 공자님의 말씀을
읽다 말고 졸고 있느냐 회초리를 들기 전에
썩 눈을 뜨지 못할까!”
하지만 호통을 친 훈장님도 학동들의
글 읽는 소리에 그만 깜박 잠들어 버렸습니다.
훈장님은 무안했는지 학동들에게 말했습니다.
“나는 지금 잠든 것이 아니라
너희를 더 잘 가르칠 방법을 여쭈러
공자님께 다녀온 것이다.”
이런 소란에도 불구하고 춘곤증은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또 꾸벅꾸벅 졸기 시작한 학동에게 훈장님이
불호령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학동은 천연덕스럽게 말했습니다.
“훈장님. 저도 공자님을 만나 뵈러 잠시 다녀온 것입니다.
그런데 훈장님께 어떤 말씀을 해주셨는지 물었는데,
훈장님은 오신 적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https://www.onday.or.kr:47355/letter/mail/2015/images/n_line.gif)
옳은 것은 옳다고 말하고,
그른 것은 그르다 말 할 수 있고,
잘한 것은 칭찬하고, 못한 것은 야단칠 수 있는 것이
진정한 가르침입니다.
자신의 잘못에 쉽게 변명부터
하는 사람은 대부분 자신에게 관대하고
남에게 엄격한 품성을 가졌습니다.
자신에게 관대한 편협한 변명은
결국 자신의 발을 잡아채는
자승자박(自繩自縛)이 될 뿐임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 오늘의 명언
때때로 남을 위한 변명은 해도 좋지만
그러나 결코 자신을 위한 변명은 하지 말라.
– 푸블리우스 시루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