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글

함께 나눌 사람이 없으면|―········

수성구 2017. 2. 6. 07:12

함께 나눌 사람이 없으면|―········감동ノ눈물감동글

       





      함께 나눌 사람이 없으면

      함께 나눌 사람이 없으면 행복을
      나누는 사람은 아무리 많아도 상관 없습니다.
      만약에 당신에게 원하는 만큼의 재산이
      손에 들어 온다면 그 재산을 누구와 함께 나누겠습니까?
      만약에 당신에게 그토록 바라던 행복이 찾아온다면
      그 행복을 누구와 함께 나누겠습니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있는 상대입니다.
      아무리 막대한 재산이 손에 들어와도 아무리
      가슴 벅찬 행복이 손에 들어와도 함께
      나눌 수 있는 상대가 없다면 그렇게
      허무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인생의 행복은 한 개인이 아니라 여러
      사람에게 주어지는 법입니다.
      커다란 행복을 혼자서 차지하기보다는 작은
      행복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갖는 것이 훨씬
      더 기쁘지 않을까요?
      행복을 함께 나누는 사람은 아무리 많아도
      상관없습니다.
      당신 옆에는 지금 행복을 나누어 가질 사람이 있나요?

      출처 : <내 영혼의 비타민> 중에서
      영상제작 : 靜默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따라서

    어떤 관광객이 나이아가라 폭포의 장관에 감탄사를 연발하며
    구경하다가 목이 말라 폭포의 물을 떠서 맛있게 마셨습니다.

    “아, 물맛 좋네!”
    하고 걸어 나오던 그는 폭포 옆에 "포이즌’(POISON)이라고
    쓰여 있는 팻말을 보았습니다.

    자신도 모르게 독성분이 든 물을 마신 것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배가 아파 오기 시작했습니다.
    창자가 녹아 내리는 것 같은 아픔을 느꼈습니다.
    동료들과 함께 급히 병원에 달려가서
    자초지종을 이야기하고 살려 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상황을 전해들은 의사는 껄껄 웃으면서
    “포이즌은 영어로는 ‘독’이지만
    프랑스어로는 ‘낚시금지’란 말입니다.
    별 이상이 없을 테니 돌아가셔도 됩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의사의 이 말 한 마디에
    그렇게 아프던 배가 아무렇지도 않게 됐습니다.

    이와 같이 내가 알고 있는 어떤 상식이나 믿음은
    우리의 마음뿐만 아니라 몸까지도 다스리고 지배합니다.
    덥다고 짜증을 부리면 몸도 마음도 상합니다.

    가족 중 한 사람이 신경질을 부리면 나머지 가족들까지
    신경질에 영향을 받게되고 부정적 바이러스는
    모든 가족에게 번져서 기분을 망치게 됩니다.

    행복은 우리의 마음먹기에 달렸습니다.
    어떤 상황이나 조건 때문에 행복하고 불행한 것이 아닙니다.
    나의 마음가짐이 행복과 불행을 결정합니다.

    '자살'이라는 글자를 반대로 하면'살자'가 되며
    영어의 스트레스(stressed)를 반대로 하면
    디저트(desserts)란 말이 됩니다.

    나폴레옹은 유럽을 제패한 황제였지만
    내 생애 행복한 날은 6일 밖에 없었다고 고백했고
    헬렌 켈러는
    "내 생애 행복 한 날은 단 하루도 없었다."는 고백을 남겼습니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따라서 행복할 수도 불행할 수도 있습니다.

    '나와' 또 나와 인연을 맺은 모든 사람들이 정말 좋은 일만 있을 거라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함께 하시는 분들을 옆에 두고서 조금씩 조금씩
    죽여줍시다.
    '행복'이라는 독약으로 말입니다.
    그러므로 인해 우리는 하는 일마다 좋은 결과만 수북히 쌓이고
    더욱더 행복해 질 것입니다.

    이 글을 읽는 그대와 나는 아직 열어보지 않은 잘 포장되어 있는
    아주 소중한 선물이 있습니다.
    그 선물 포장을 함께 열어보고 싶습니다.
    그것은 미래(未來)란 선물입니다.
    그대가 앞으로 올 날들 삶 속에 늘 건강하고 제일 행복하고
    좋은 일만 많이 있을 거라는 예감을 하며 미소를 보냅니다.
    그도세상 김용호
    영상제작 : 동제






        역 발상을 통해 배우는 세상의 이치

        성실(誠實)’하지 않으면 ‘실성(失性)’하고
        지금’ 하지 않으면 ‘금지(禁止)’되며

        실상(實狀)’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으면
        상실(喪失)’의 아픔을 겪을 수 있다.

        체육(體育)’으로 몸을 단련하지 않으면
        육체(肉體)’를 잃을 수 있으며,

        관습(慣習)’을 타파하지 않으면
        나쁜 ‘습관(習慣)’에 억매여 살게 된다.

        작가(作家)’로서의 기질을 보여주지 않으면
        가작(佳作)’도 탄생시킬 수 없으며

        일생(一生)’을 목숨 걸고 살지 않으면
        생일(生日)’조차 맞이할 수 없다.

        교육(敎育)’을 똑바로 하지 않으면 미래로 향하는
        ‘육교(陸橋)’조차 건설할 수 없으며,

        굴비에게도 배우려는 자세를 갖지 않으면
        비굴(卑屈)’하게 살 수 밖에 없다

        세상(世上)’을 똑바로 살지 않으면
        상세(詳細)’하게 목표를 설정할 수 없으며,

        사상(思想)’을 똑바로 세우지 않으면
        상사(上司)’조차도 되지 못한다.

        사고(思考)’하지 않으면 ‘고사(枯死)’당하고,
        등대(燈臺)’를 찾는 노력을 포기하면

        대등(對等)’한 입장에서 세상을 살아가기 어렵다.
        세상의 소음과 '단절(斷絶)'하지 않으면
        인생이 ‘절단(絶斷)’날 수 있으며,

        성품(性品)’을 곱게 가꾸지 않으면
        품성(品性)’마저 망가진다.
        책상(冊床)’에서 진득하게 공부하는 시간을 마련하지 않으면
        ‘상책(上策)’은 떠오르지 않고

        용기(勇氣)’내어 과감하게 행동하지 않으면 그 어디에도
        ‘기용(起用)’되지 못한다.

        문인(文人)’들의 세계를 파고들지 않으면
        인문(人文)’의 세계로 진입할 수 없으며,

        성숙(成熟)’하는 시간을 의도적으로 마련하지 않으면 절대로
        ‘숙성(熟成)’되지 않는다.

        수고(手鼓)’하지 않으면
        고수(高手)’가 될 수 없으며,

        변주(變奏)’하는 즐거움을 맛보지 못하면
        주변(周邊)’에서 영원히 서성거릴 수 있다.

        출처 : 유영만 글 중에서

        영상제작 : 동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