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그 일로해서 조총련계로 오해받아
작품 활동에 고초를 겪기도 했다.
오다 세이조와의사랑도 아픔으로 겪은 그녀는
곧, 일본에서 돌아와 수덕사의 여승이 된다.
자신이 추구하는 사랑이 세파에 으스러지는
아픔을 이겨내고,
일엽스님 일당의 그림(石彩畵)
또 다른 참 인생의
행로를 불자의 길로 선택한 것이다.
어머니가 보고 싶어 어린 아들이
수덕사를 찾아 왔는데 불자가 되었으니,
“속세에 맺어진 너와나의
모자인연은 속세에서 끝났으므로
더 이상 나를 어머니라 부르지 말라”
하며 모질게도 모자의 정을 끊고자 이역만리
찾아온 어린자식을 절 밖에 재웠다 한다.
이때 김일엽의 절친한 친구인 나혜석이
수덕사 밖에 있는 수덕여관에서 같이 지내며
어머니 처럼 자신의 젖가슴도
만져보게 하고 그림도 가르쳤다고 한다.
그때 흘리지 못한 눈물이
가슴에 쌓여 해탈로 녹아내렸을까 ?
비구니로써 그의 인생이 한국 불교계에 큰 족적을
남길 만큼 성공적인 것은 우연이 절대 아니다.
가수이자 음성 포교사인 “수덕사의 여승”의
주인공 송춘희씨를 기념하기위하여
절 앞에 있는
주차장에 노래 기념비를 세웠으나
2-3일후 수덕사의 스님들이
이 기념비를 무너뜨렸다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류화가이며 문장가인 나혜석이 그 한명이고,
나머지 한명은 시인으로 유명한 김일엽이다.
이 신여성 세 사람은 조선사회 남존여비의 실체가
그대로 존재했던 시기에
시대의 요구를 단호히 거부하고
불꽃처럼 살며 사랑을 위해 목숨을 건 여인들이다.
그 연유는 아마도 노래의 가사 내용이
스님들의 비위를 건드리지 않았나 싶다.
그렇다 해도 중생을 구제하고
아픔을 함께 해야하는 스님들께서
속세의 작은 정표하나
가슴으로 안아주지 못하는 처사가
못내 아쉽기만 한 것은
내가 불자가 아니어서 그런걸까 ?
일엽 스님께서 살아계셨다면 기념비는
어찌 되었을지 자못 궁금하기만 하다.
무심히 부르고 흘러버릴 대중가요일 뿐인
“수덕사의 여승”에 이렇게 딴지를 걸어 보는건,
이 노래가 만들어진 시기가 60년대이니
이때엔 일엽스님께서 수덕사에 살아 계실 때다.
단정할 수는 없으나
노랫말을 쓴이가 일엽스님의 인생을 안다면
아마도 그런 가사가 나왔음 직 하지 않은가.
이 글에 인용된 사실적 기록들은
일엽 스님의 아들 일당스님
(김태신)이 최근 발표한 자전소설
어머니 당신이 그립습니다
에서 발췌했음을 밝혀 둔다.
옮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