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밥상머리교육’이 필요한 때
교육은 지육(智育)·덕육(德育)·체육(體育),
즉 삼육(三育)이 균형을 이뤄야 바람직하다.
그런데 요즘 선진국에선 또 하나의 소리 없는
혁명이 확산 중이다.
밥상머리교육, 이른바 ‘식육(食育)’이다.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는 등의 사회적 요인 때문에
가정에서 식탁교육이 힘들어지다 보니 학교에서
일찍부터 밥상머리교육에 눈을 떴을 것이다.
세계적으로 뛰어난 인재들을 많이 배출하기로
이름난 이스라엘(유대인) 민족의 교육 비결도
다름 아닌 밥상머리교육이다.
‘밥상머리교육’은 본래 우리나라 교육의 뿌리였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밥상머리에서 더불어 사는
삶의 지혜, 인내, 배려 등 기초적인 사회성을 가르쳤다.
온 가족이 둘러앉은 밥상은 단순히 생명 유지를
위한 식사 한 끼가 아니라
가족공동체의 체험을 통한 전인교육의 장이었다.
따라서 우리교육의 근원은 곧 가정이요,
밥상머리 교육이야말로 진정한 사교육이었던 셈이다.
요즘 아이들의 기본적인 인성이 바로 서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가정이 아니면 가르칠 수 없는 덕목들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절반이 경제 활동을 함에 따라 진정한 사교육장인
가정에서 밥상머리교육이 무너진 탓이다.
실제로 초등학생의 16%, 중·고생의 48.5%가
‘부모와 식사를 하지 않는다’는
보건복지가족부의 최근 조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현대인의 질병 패턴이 감염성 질병에서 만성 질병으로
변해감에 따라 어릴 때부터
올바른 식습관을 유지하여 예방하는 것이 큰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올바른 식문화와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이 식생활교육이다.
제때에 꼭 필요한 교육을 가정에서 가르칠 수 없다면
그 몫은 당연히 교육기관 몫이다.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식육(食育) 프로그램으로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아이들은 자신의 건강을 위해 좋은 음식과 올바른
식습관을 선택할 것이다.
또한 교육기관 에서 익힌 건강한 음식문화는
성인이 된 후에도 건강한 심신을 유지하게 하며
장차 부모로서 자녀에게 올바른 식(食)문화를 물려줄 것이다.
결국 학창시절의 올바른 식육(食育)은 건강한
국민과 국가를 만드는 길이다.
오늘날 우리는 먹고 싶을 때,
먹고 싶은 것을 마음껏 먹을 수 있는
‘포식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나 ‘먹고 사는’ 문제가 최대의 관심사가 된
시대가 되었는데도
정작 아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제대로 된 교육도 없이 살고 있다.
유아기관 부터 식생활교육을 의무화하고
매달 19일을 ‘식육의 날’로 정해
부모와 함께 식사하기 캠페인을 벌이는 일본
등과는 달리 초등학교 5학년이 되어서야
연간 10시간을 배울 뿐이다.
가정교육이라 함은 곧 ‘밥상머리교육’을 말했던 대한민국,
입시를 위한 과목 시수는 갈수록 늘고 있는 반면 제대로
된 식육(食育) 관련법 하나 없었던 부끄러운 나라다.
그동안 식생활교육을 교육문제가 아닌 정치적
이해관계로 접근했기 때문이다.
인간은 그가 먹은 음식 그 자체다.
음식을 먹음으로써 육체가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정신까지도 지배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생활교육은 먹고 사는 것에 관한 단순한
교육의 차원 그 이상의 문제로,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드는 첫걸음이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아이들을 글로벌 리더로 키우는 길,
밥상머리교육이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