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추석처럼
매일매일 추석처럼
(탁은수 베드로 언론인)
수확의 기쁨과 감사의 마음을 나누는 추석입니다.
예부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며 추석의 정취를 나눴습니다.
자주 듣던 말이지만 더함도 없고. 덜함도 없다..라는 표현이 참으로 절묘합니다.
남지도 않고 보자라지도 않는 상태.
더 가지기 위해 욕심부리는 것이 아니라 필요가 충족되면
만족하고 감사할 줄 아는 마음이 추석의 진정한 의미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농업혁명. 산업혁명 등으로 남는 것이 생기면서 인류는 문명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비극의 싹도 함께 키웠습니다.
남는 것을 많이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의 계급이 생겼습니다.
남는 것을 더 가지기 위한 마음은 남의 것을 탐내는 욕심으로 이어졌고
착취와 전쟁의 원인이 됐습니다.
더 많이 남기기 위해 효율과 경쟁만이 강조되면서
자연과 사람의 가치를 외면하는 일도 생깁니다.
언제부터인가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뜻의 `잉여인간`이라는
자조에 가득 찬 말이 쓰이기도 합니다.
태어날 때 우리는 하느님이 주신 생명 외에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었습니다.
우는 것밖에 할 수 없던 내가 다른 이의 도움으로 이 세상을 살게 됐으니 참으로 고마운 일입니다.
머리카락 하나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내가 수많은 질병. 재난과 재해.
사건사고 속에서 하루를 무사히 살아 내는 건 어쩌면 기적에 가까운 감사한 일입니다.
하지만 감사의 마음 대신 더 큰 집. 더 큰 차를 욕심내느라 시간을 보냅니다.
몇 번 입지 않는 옷. 다 먹지 못할 음식을 쌓아두기도 일쑤입니다.
비만과 기아의 걱정이 공존하는 불공정함을 교황께서는
잔인한 현실이라고 지적하셨습니다.
이 세상 소풍을 마치고 하느님께 돌아갈 땐 누구나 다 빈손일 겁니다.
남는 것. 남의 것 욕심내며 살았다면 이 세상 소풍이 아름다웠다고
하느님께 말할 수 있을까요? 먹고 사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이지만
하느님은 새들도 먹이시고 풀꽃도 입히십니다.
추석이 은혜로운 건 만족함을 알기 때문입니다.
인생의 가을쯤을 지나는 지금.
내 인생의 결실은 무엇일까 생각해 봅니다.
해답을 찾진 못 했지만 집이나 차가 아닌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다만 분수를 알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추석처럼 산다면
그렇게 사는 나를 하느님께서는 인자한 미소로 안아주실 것 같습니다.
'백합 > 시와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집 입구에 써있는 글 (0) | 2022.09.14 |
---|---|
서로에게 살아 있는 사람이 되자 (0) | 2022.09.13 |
사람과 사람 사이의 길 (0) | 2022.09.12 |
탕자가 받은 재산은 (0) | 2022.09.10 |
내일을 생각하고 (0) | 202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