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오늘의 성인

축일: 3월 1일 성 알비노 주교/웨일스의 성 다윗(드위)주교 //

수성구 2014. 2. 26. 21:03

오늘의 묵상

오늘 제1독서는 야고보서의 끝 부분입니다. 이 말씀은 우리에게 신앙인의 일상을 그려 보게 합니다.
우리 신앙인은 고통을 겪을 때 주님께 기도하고, 즐거울 때 그분을 찬미합니다. 신앙인이라고 해서 희로애락을 다르게 겪지 않습니다. 신앙인의 모습은 그러한 생의 사건들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어떠한 자세를 갖는가 하는 데서 드러납니다. 신앙인의 기본자세는 각 개인만이 아니라 신앙인의 공동체인 교회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나야 합니다. 그러기에 야고보 사도는 교회 공동체가 믿음의 기도로 아픈 이와 함께하고 서로 죄를 고백하라고 권고합니다.
그런데 신앙인이든 신앙인의 공동체인 교회이든, 이러한 일상은 하느님에 대한 신뢰 안에서만 자라날 수 있습니다. 많은 영성 서적을 펴내 우리 시대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 출신의 헨리 나우웬 신부는 자신의 후기 작품들에서 자주 '공중그네 곡예사'를 통하여 신앙인의 참모습을 그려 내곤 했습니다. 곡예사의 도약은 오로지 상대편이 자신의 손을 잡아 주리라는 전적인 신뢰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붙잡으려고 애쓰기 이전에 상대편이 붙잡아 주리라는 믿음이 있기에 까마득하게 높은 곳에서 몸을 날릴 수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신앙인의 참모습을 드러내며 살아가려면 겹겹의 보호막 대신에 어두운 그늘 모두를 주님 앞에 내놓는 신뢰를 선택해야 합니다. 교회 공동체 역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주님을 굳게 믿고 의지하는 마음으로 기도하고 찬미하며 고백하는 가운데 교회는 자신의 본모습을 찾게 됩니다.

 

 

       축일: 3월 1일 성 알비노 주교/웨일스의 성 다윗(드위)주교 //

//

 

 

 

 

축일: 3월 1일

성 알비노 주교

St.Albinus of Angers

Sant' Albino di Angers Vescovo
Albino = bianco, dal latino(white man, from the Latin)
Also known as Aubin
Born:469 at Vannes, Brittany, France
Died:1 March 549; relics at the Cathedral of Saint Germanus in Paris

(Vannes, Francia, verso il 496 - 10 marzo 550 )

 

 

브리타니의 반느 교구에서 태어난 그는 잉글랜드나 혹은 아일랜드계이고,

젊어서 틴실라 수도원에 입회하여 신심이 돈독하였다.

 

35세의 나이에 그는 원장으로 피선되었고, 그의 지도아래 그의 수도회가 전성기를 맞았다고 전해 온다.

529년, 앙제의 주교좌가 공석이 되었을 때, 교구민들이 그에게 몰려와서 주교로 영입코자 하였다.

그는 완강히 거부하였으나, 랑느의 주교이던 성 멜라니오의 권유에 못이겨 앙제의 주교가 되어

열심히 사목하였다.

 

그는 매일 설교하기로 유명하였고,항상 병자나 가난한 과부들 곁에 있었다고 한다.

노예의 대속금을 지불하느라고 자금을 마련하였고, 외교인의 개종에 전력을 기울였다.

또한 538년 제3차 오를리언스(블란서)공의회때 중추적인 역할을 하셨다고한다.

 

 

프랑스 북서부 브르타뉴(Bretagne)의 반(Vannes) 교구에서 태어난 성 알비누스(또는 알비노)는 잉글랜드(England)나 혹은 아일랜드계로 젊어서 틴실락(Tincilloc) 수도원에 입회할 정도로 신심이 돈독하였다. 그는 35세의 나이에 원장으로 피선되었고, 그의 지도하에 수도회가 전성기를 맞았다고 전해 온다.
529년 앙제의 주교좌가 공석이 되었을 때 교구민들이 그에게 몰려와서 그를 주교로 영입하고자 하였다. 그는 완강히 거부하였으나 렌(Rennes)의 주교이던 성 멜라니우스(Melanius, 1월 6일)의 권유에 못 이겨 앙제의 주교가 되어 열심히 사목하였다. 그는 매일 설교하는 것으로 유명했고, 항상 병자나 가난한 과부들 곁에 있었다고 한다.
그는 또한 노예의 대속금을 지불하기 위한 자금 마련과 외교인들의 개종에 전력을 기울였다. 그의 유해는 파리(Paris)의 성 게르마누스(Germanus) 성당에 안치되었다. 그는 오빈(Aubin)으로도 불린다.
(가톨릭홈에서)

 

 

 

 

DEWI SANT, Patron Saint of Wales.

Icon by G. Papageorgiou

at the Orthodox Church of the Holy Protection, Blaenau Ffestiniog

 

 

축일:3월1일

웨일스의 성 다윗(드위) 주교

St. DAVID of Wales

St. Dewi, Bishop of Mynyw

San David di Menevia (del Galles) Vescovo

c.542 at Menevia (now Saint David’s), Wales

- c.601 at Mynyw, Wales

Canonized:1120 by Pope Callistus II

Name Meaning:beloved one

 

 

 

드위라고 알려진 다윗에 대하여

우리들이 알고 있는 모든 사실은 11 세기에 기룩된 불확실한 그의 전기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전기에 의하면, 다윗은 사우스 웰스의 샌트 국왕의 아들로서 사제가 되었으며,

성 바울리노의 문하에서 몇 년 동안을 공부하여 선교활동에 종사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윗은 브레피 시노드에도 참석하여 큰 공헌을 하였고,

550년경에 행한 그의 뛰어난 설교로 인하여 켐브리안 교회의 최고 책임자로 선출되었다.

 

또한 그는 성지의 순례하던 중에 예루살렘의 총주교로부터 대주교로 승품받았고,

빅토리 시노드라 부르는 회의를 주재하여 명성을 떨쳤다.

이때 그는 벨라지아니즘을 최종적으로 배격하는데 성공하였고,

브레피의 칙령을 인준하였으며, 브리티쉬 교회의 규정을 제정하는 등 교회 안팎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는 자신이 세운 미니유의 수도원에서 운명하였고, 1120 년경부터 갈리스토 2세로부터 그의 공경이 허용되었다.

그의 출생과 사망 연대는 불확실하지만, 그는 웨일스의 수호성인으로 높이 공경받았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Flag flown on St. David’s Day in Wales.

Folks are expected to wear leeks or daffodils that day

 

 

 

 

 

작은 일

 

 

화장실 청소와 강론 중에서 어느 것이 더 거룩할까?

만약 당신이 강론을 선택했다면, 성 다윗은 거룩함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재고하도록 해줄 것이다.

 

웨일스 지방의 수호 성인인 다윗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거룩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일들을 많이 했다.

오랜 시간 기도했고, 진심으로 죄를 뉘우쳤으며 훌륭한 강론도 했다.

그러나 그는 임종 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신앙을 지키십시오. 그리고 나와 함께 보고 들었던 작은 일들을 행하십시오.”

 

거룩함은 거창한 일을 행하는 데 있지 않다. 마더 데레사가 말했듯이 거룩함은 작은 일을 큰 사랑을 가지고 하는 데 있다.

불변하는 창조 법칙 중 하나는 우리가 행한 모든 것에는 반드시 그 결과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사랑하는 마음으로 행하면 그 행동은 우리를 하느님과 일치시키고 이웃들과 일치시킨다.

반대로 이기심과 증오와 분노에서 비롯되는 행동들은 하느님과 하나가 되지 못하도록 담을 쌓고, 사람들과도 담을 쌓게 만든다.

 

선택은 우리에게 달려 있다.

아무리 작고 의미 없는 것처럼 보이는 일일지라도, 모든 일을 사랑 안에서 한다면 그 일들은 우리를 거룩하게 만들 것이다.

평범한 일을 사랑으로 할 때 나의 감정은 어떻게 바뀌는가?

일상의 평범한 일들을 기쁘고 즐겁게 하겠다.(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St Davids Cathed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