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자맹자] 公孫丑下(공손추하) 3 是貨之也(시화지야|……──동양철학자맹자
|
陳臻(진진)이 진진이 問曰前日於齊(문왈전일어제)에 물어 말하기를, "전일에 제나라에 있을 때 王(왕)이 왕이 餽兼金一百而不受(궤겸금일백이불수)하시고 겸금 일백일(一百鎰) 을 주셨는데 받지 아니하고 於宋(어송)에 송나라에서는 餽七十鎰而受(궤칠십일이수)하시고 칠십일(七十鎰) 주셨는데 받으시고 於薛(어설)에 설나라에서는 餽五十鎰而受(궤오십일이수)하시니 오십일(五十鎰)을 주셨는데 받으셨으니 前日之不受是(전일지불수시)면 전일에 받지 않은 것이 옳다면 則今日之受非也(칙금일지수비야)오 오늘에 받은 것은 잘못 된 것이오 今日之受是(금일지수시)면 오늘에 받은 것이 옳다면 則前日之不受非也(칙전일지불수비야)니 전일에 받지 아니한 것이 옳지 못하니 夫子必居一於此矣(부자필거일어차의)시리이다 선생님께서 반드시 이 중 하나에 해당 되실것입니다." 孟子曰皆是也(맹자왈개시야)니라 맹자가 말하기를 "모두 옳은 것이다 當在宋也(당재송야)하여는 송나라에 있을 때에는 予將有遠行(여장유원행)이러니 내가 장차 먼 길을 가야했는데 行者(행자)는 먼 길을 가는 자에게는 必以贐(필이신)이라 반드시 노자를 주는 법이다. 辭曰餽贐(사왈궤신)이어니 인사의 말에 '노자로 주는 것이라' 하니 予何爲不受(여하위불수)리오 내 어찌 받지 않으리오 當在薛也(당재설야)하여는 설나라에 있을 때에는 予有戒心(여유계심)이러니 내가 경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으니 辭曰聞戒故(사왈문계고)로 인사말에 경계하고 있다는 것을 들었으므로 爲兵餽之(위병궤지)어니 경호할 병사를 위해서 주는 것이라 하니 予何爲不受(여하위불수)리오 내 어찌 받지 않으리오 若於齊則未有處也(약어제칙미유처야)하니 제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필요가 없었던 터이니라 無處而餽之(무처이궤지)면 필요가 없는데 선사하는 것은 是貨之也(시화지야)니 이는 뇌물로 주는 것이니 焉有君子而可以貨取乎(언유군자이가이화취호)리오 어찌 군자로서 뇌물을 취할 수 있겠느냐?"
|
|
|